N수생에 밀리고, 수도권에 치이고…지방 고3 ‘SKY 정시 합격’ 7.9%뿐

2023.04.27 22:04 입력 2023.04.27 22:05 수정

‘수능이 공정’ 통념과 반대…정시 확대 ‘진입 통로’ 더 좁혀

최근 4년간 서울대·연세대·고려대 정시모집 합격자 중 ‘지방 소재 고3 재학생’ 비율이 한 자릿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사교육 영향이 가장 적고 공정할 것이라는 인식과 달리, 정시모집에서 가장 유리한 수험생은 사교육을 받기 쉬운 수도권 재학생과 이른바 ‘N수생’이라는 사실이 확인됐다.

27일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정책연구단체 교육랩공공장과 함께 2020~2023학년도 서울대·연세대·고려대 정시모집 합격자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이 기간 3개 대학에 합격한 수험생 중 서울·경기·인천 외 지방 소재 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은 7.9%에 그쳤다.

정시 합격자 10명 중 9명 이상이 수도권 소재 고등학교 재학생이거나 N수생이라는 뜻이다. ‘조국 사태’ 이후 수시모집이 불공정하다는 인식이 확산하면서 2020학년도부터 서울 주요대학 정시모집 비율이 40%까지 늘어났지만 되레 지방 고교 재학생이 상위권 주요대에 진입할 수 있는 통로가 좁아진 셈이다.

서울대·연세대·고려대 정시 합격자 중 서울 소재 고등학교 출신은 42.1%, 경기 소재 고등학교 출신은 29.5%를 차지했다. 전국 고등학생 중 서울 소재 고등학교 학생의 비율은 16.4%, 경기는 27.0%다.

N수생 강세는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 3개 대학 정시 합격자 중 N수생은 61.2%였고 재학생은 36.0%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6~2018학년도 N수생 비율(53.7%)보다 7.5%포인트 늘어난 것이다.

강득구 의원은 “지역 간 격차와 부모 경제력에 의한 격차에 따라 점수가 결정되는 수능을 그대로 두고서는 교육개혁을 제대로 추진할 수 없다는 우려를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