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린 아직도 그날에 멈춰 서서 널 그리워해” 서초구 초등학교서 열린 서울교육청 주최 추모제도 ‘비통·애통’

2023.09.04 21:16 입력 2023.09.04 23:04 수정

동료·시민 등 140여명 참석

이주호·조희연, 추모사 읽어

조문객들 “사과하라” 항의도

지난 7월18일 1학년 담임교사가 숨진 서울 서초구의 한 초등학교에서는 고인의 49재일에 맞춰 4일 서울시교육청 주최 추모제가 열렸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임태희 경기도교육감, 정성국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장, 김용서 교사노동조합연맹 위원장, 전희영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위원장과 고인의 학교 선후배, 일반 시민 등 140여명이 참석했다.

숨진 교사의 추모 영상으로 시작된 추모제에서는 내내 비통함이 흘렀다. 편지를 낭독하기 위해 단상에 선 동료교사는 몇초간 쉽사리 입을 열지 못했다. 그가 “우리는 아직도 7월의 그날 이곳에서 멈춰 서서 널 그리워하고 있어”라는 대목을 읽자 강당 곳곳에서는 흐느끼는 소리가 들렸다. 고인의 대학 후배도 “지난달까지만 해도 왜 하필 언니였어야 했나, 언니는 이미 없는데 이게 다 무슨 소용인가, 왜 꼭 누가 죽고 다쳐야 개선되고 뭔가 부랴부랴 바뀌려고 할까, 바뀌긴 할까 절망적인 마음만 들었다”고 힘겹게 말을 이어갔다.

이주호 부총리는 “소중한 딸을 사무치게 그리워하고 계실 유가족께 깊은 위로의 뜻을 전한다”고 추모사를 시작한 뒤 잠시 말을 잇지 못했다.

이 부총리는 “지난 7월18일은 교육계는 물론 우리 사회 전체에 경종을 울린 날”이라며 “이날을 통해 그동안 선생님들께서 겪으셨을 상처가 얼마나 크고 깊은지, 그리고 학교와 교실이 얼마나 큰 위기에 직면하고 있는지 알게 됐다”고 말했다.

일부 참석자들은 이 부총리가 추모사를 읽는 동안 등을 보이고 돌아앉아 ‘공교육 정상화’라고 적힌 손팻말을 들었다. 경기지역 23년 차 박준형 교사는 “지금까지 추모행사 하면 징계하겠다고 하다 마치 교사 아픔 이해하겠다는 듯이 말하는 게 이해가 안 된다”며 “그런 추모에 대해서는 공감할 수 없다는 답변을 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조희연 교육감은 “학교와 선생님 없이는 우리 사회의 미래도 없다는 당연한 사실을 종종 잊었다”며 “안전하고 평화로운 학교에서 선생님들이 정당하게 가르칠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노력을 쏟겠다”고 말했다.

이 부총리와 조 교육감이 추모를 끝내고 나오자 일부 추모객들은 “사과하라” “반성하라”고 외쳤다. 한 교사가 “(교사들을 징계하겠다고) 뱉은 말에 책임질 거냐, 왜 추모하는데 우리가 징계를 받아야 하나”라고 물었으나 이 부총리는 대답하지 않았다. 계속되는 징계 관련 질문에 조 교육감은 “내일(5일) 입장 설명이 있을 테고, 나중에 시·도교육감협의회에서 논의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