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계 엄포에도…전국 교사 5만명, 국회 앞 집결

2023.09.04 21:10 입력 2023.09.04 23:08 수정

‘공교육 멈춤의 날’ 연가·병가 내…교사 숨진 서초구 학교선 49재 추모제

단축수업에 학부모 혼란도…윤 대통령 “교권 확립·교육 현장 정상화를”

<b>숨진 교사 추모하는 학생·교사들</b> 서울 서초구 한 초등학교에서 극단적인 선택을 한 교사의 49재 추모일인 4일 ‘공교육 멈춤의 날’ 집단행동에 나선 교사들이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숨진 교사를 애도하고 진상규명과 교권보호 합의안 의결을 촉구하고 있다. 한수빈 기자 subinhann@kyunghyang.com

숨진 교사 추모하는 학생·교사들 서울 서초구 한 초등학교에서 극단적인 선택을 한 교사의 49재 추모일인 4일 ‘공교육 멈춤의 날’ 집단행동에 나선 교사들이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숨진 교사를 애도하고 진상규명과 교권보호 합의안 의결을 촉구하고 있다. 한수빈 기자 subinhann@kyunghyang.com

서울 서초구의 한 초등학교에서 극단적 선택을 한 교사의 49재 추모일인 4일 전국 상당수 초등교사가 집단으로 연가·병가를 내고 ‘공교육 멈춤의 날’에 동참했다.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는 교사 등 5만명가량(주최 측 추산)이 모여 대규모 추모 집회를 열었다.

서울시교육청도 고인이 교편을 잡았던 초등학교에서 별도의 추모제를 개최했다. 서울로 오지 못한 교사들은 전국 시·도교육청 앞과 교육대학교 등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열린 추모 집회에 참석해 동료의 죽음을 애도했다.

참가자들은 교사 사망 사건 진상규명과 교권보호 관련 법안 국회 의결 등을 한목소리로 요구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서울시교육청 주최 추모제에 참석해 “그동안 무너진 교권에 대한 선생님들의 목소리를 외면해온 것은 아닌지 다시 한번 되돌아본다”면서 “현장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교육 전반을 면밀하게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이날 상당수 교사가 연가나 병가를 내면서 단축 수업이나 합반 수업을 하는 학교가 속출하기도 했다. 교육부는 학생들의 학습권 보호가 최우선인 만큼 연가·병가를 낸 교사들의 규모를 당장 집계하고 있지는 않다고 밝혔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날 출입 기자단 브리핑에서 교사 징계 질문이 나오자 “기존 원칙이 바뀐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징계 수위에 대해선 즉답을 피했다.

다수의 초등학교에서 정상 수업을 진행하기로 했다가 교사들이 상당수 출근하지 않자 뒤늦게 수업 운영방식 변경을 공지하는 등 학사일정이 파행을 빚었다. 경기도의 한 초등학교는 이날 오전 학부모들에게 보낸 긴급 가정통신문에서 “다수 선생님이 출근하지 않으셔서 정상적인 학사일정이 불가능해 1교시 후 전교생을 하교시킨다”고 공지했다. 서울의 한 초등학교는 “교육과정을 정상 운영하려 했으나 교사 부재로 학생 안전을 위해 급식 실시 후 순차적으로 귀가시키겠다”고 했다.

애초 상당수 초등학교는 이날을 임시휴업(재량휴업)일로 사전 지정할 계획이었지만 교육부의 강경 대응 방침에 임시휴업을 추진했던 학교 대부분이 철회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4일 오후 5시 기준 전국 초등학교 6000여곳 중 임시휴업을 한 학교는 38개교에 그쳤다.

서울시교육청은 4일 소속 직원 850여명을 관내 학교에 투입해 학습지도와 생활지도, 급식, 등·하교 안전지도 등을 지원했다.

당일에야 학사운영 변경을 통보받은 학부모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 1학년과 5학년생을 보내는 학부모 A씨는 “오늘 학교가 어떻게 운영되는지 전혀 알지 못해 답답했다. 단축수업 후 하교한 아이에게 합동수업을 했다고만 뒤늦게 전해들었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지난 주말 현장 교사들이 외친 목소리를 깊이 새겨 교권 확립과 교육현장 정상화에 만전을 기하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이같이 지시했다고 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대통령의 메시지는 확실하다”며 “지난 주말 현장 교사들의 외침을 깊이 새기자. 그래서 교권을 확립하고 교육현장 정상화에 만전을 기하자는 게 주된 메시지”라고 덧붙였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