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교수 사직 효력 발생 첫날 의료현장 ‘폭풍전야’···정부·의사단체 ‘갈등’ 여전

2024.04.25 16:09

전국 의과대학 교수들이 사직서 제출한 지 한 달째 되면서 사직 효력이 발생하기 시작한 25일 서울 시내 한 대학 병원에서 의료진이 오가고 있다. 조태형 기자

전국 의과대학 교수들이 사직서 제출한 지 한 달째 되면서 사직 효력이 발생하기 시작한 25일 서울 시내 한 대학 병원에서 의료진이 오가고 있다. 조태형 기자

전국 의대 교수들이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해 사직서를 제출한 지 25일로 한 달이 되면서 의료현장에서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당장 교수들이 무더기로 병원 현장을 떠나지는 않았지만 일부 교수들은 개별적으로 사직을 예고했다. 서울 ‘빅5’ 병원을 수련병원으로 둔 의대 교수들이 다음주부터 ‘주 1회 휴진’을 하기로 해 진료공백 확대는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회적 협의체인 의료개혁특별위원회가 이날 출범했으나 의대 증원을 두고 정부와 의료계가 기존 입장을 고수하며 ‘강 대 강’ 대치를 이어갔다.

서울 ‘빅5’(서울대·세브란스·서울성모·서울아산·삼성서울) 병원 등 주요 대형병원에서는 이날 당장 교수들의 뚜렷한 사직 움직임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의대 교수들은 지난달 25일부터 순차적으로 사직서를 제출해 사직 효력 발생 시점이 제각각인데다, 또 일부는 의대 교수단체가 취합해놓고 학교 당국에 제출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정부는 지난 23일 브리핑에서 “25일 시점에 교수들의 사직 수리가 예정된 건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다음주부터 교수들 개별적으로 실제 병원을 떠나는 움직임이 나타날 수 있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 집행부 교수 4명은 다음달 1일 사직하겠다고 했다.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신상분과 교수 2명은 근무 종료 시점을 8월31일로 잡고 환자 전원을 추진하고 있다.

전체 교수 사직 규모가 크지 않더라도 병원에 따라서는 1~2명의 교수가 전담하는 진료 과목도 있는 만큼 환자 입장에선 진료공백 우려가 커질 수밖에 없다. 주요 대형병원은 전공의 이탈 이후 이미 수술을 절반 이상 줄였고, 외래도 20∼30%가량 축소한 상태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지난 22일 “응급실, 중환자실, 수술실, 분만실 등 생명과 직결된 필수중증의료가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25일 이후에도 부디 의료현장에 남아달라”고 호소했다.

특히 다음주 전국 의대 교수들이 ‘주 1회 휴진’에 나서면 수술·진료 지연 등 피해도 커진다. 서울 ‘빅5’ 병원을 수련병원으로 둔 5개 의대를 포함한 전국 20개 의대 교수들은 다음주 주 1회 휴진을 실행한다. 서울대병원과 세브란스병원은 이달 30일 하루 외래진료와 수술을 모두 중단한다. 연세대 의대 교수들도 지난 24일 총회를 열어 이달 30일 하루 휴진을 시작으로 다음달 말까지 주 1회 휴진을 지속하기로 결정했다. 울산대 의대 교수 비대위도 다음달 3일부터 주 1회 휴진한다. 성균관대 의대 교수 비대위도 지난 24일 “주 1회 휴진날 정해 휴식을 취해달라”는 입장을 소속 교수들에 전달했다.

‘의대 증원’을 두고 정부와 의료계는 여전히 갈등하고 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에서 “의료계가 원점 재검토, 1년 유예 등 내년도 의대 증원 자체를 반대하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는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것으로서 정부가 선택할 수 없는 대안”이라고 밝혔다. 임현택 대한의사협회 차기 회장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의대 교수들이 정신·육체적 한계 상황이라 휴진일이 필요하다면서 “절대적인 책임감을 가지고 의대 정원 증원과 필수의료 패키지 전면 백지화를 이뤄내겠다”고 했다.

이날 사회적 협의체인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가 출범했지만, 의사단체는 참여하지 않았다. 의료개혁 특위에서 “내년도 증원은 기존 일정대로 시행해야 하고, 향후 의대 정원 규모에 대해선 논의 계획은 없다”고 밝혀 의사단체의 참여 가능성은 더 낮아졌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