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들이 각자도생 넘어 ‘각자도사’ 내몰렸다…절망, 상처, 참담”

2024.06.13 14:41 입력 2024.06.13 15:41 수정

92개 환자단체들 의료계 집단휴진 철회 촉구

한국환자단체연합회, 중증아토피연합회,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한국유방암환우총연합회 등 환자 단체 회원들이 13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 앞에서 의료계 집단휴진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환자단체연합회, 중증아토피연합회,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한국유방암환우총연합회 등 환자 단체 회원들이 13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 앞에서 의료계 집단휴진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92개 환자단체들이 한자리에 모여 “환자들이 각자도생(生)을 넘어 각자도사(死)의 사지로 내몰리고 있다”면서 의료계의 집단휴진 철회를 촉구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 한국백혈병한우회, 한국유방암환우총연합회 등 92개 환자단체들은 13일 오전 국회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공의 집단행동으로 시작된 넉 달간의 의료 공백 기간 동안 어떻게든 버티며 적응해왔던 환자들에게 연이은 집단 휴진·무기한 휴진 결의는 절망적인 소식이 아닐 수 없다”며 “서울대병원 비대위와 대한의사협회(의협)는 무기한 휴진 전면 휴진 결정을 지금 당장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서울대병원과 세브란스병원 등 주요 대학병원들과 의협을 중심으로 동네의원까지 집단휴진 결의가 확산하자 환자단체들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전날에는 한국중증질환연합회가 서울대병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중증질환자들이 ‘죽음’으로 내몰리고 있다”고 호소했다.

환자단체들은 이날 “이번 서울대병원 비대위의 전면 휴진 발표는 환자들에게 크나큰 상처를 주었다”며 “이제 우리는 ‘좋은 의사’는커녕 그냥 ‘의사’조차도 볼 수 없을지 모르는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말했다. “그야말로 참담한 심정”이라고 했다.

이어 “서울대병원 비대위가 입장문에서 ‘진료를 미뤄주기를 부탁한다’고 썼는데, 이것이 환자들에게 부탁이랍시고 할 수 있는 말인가”라며 “부탁은 제자이자 후배인 전공의들에게 했어야 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들은 강대 강 대치를 지속하고 있는 정부와 의료계의 일방적 태도를 모두 비판했다. “(의료계와 정부) 어느 누구도 환자의 목소리를 듣지 않았다”면서 “지금 이 상황은 왜, 무엇을 위해 시작되었으며, 환자들은 도대체 언제까지 참아야 하는가”라고 물었다. 이어 “정부도, 의료계도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는 상황에서, 결국 병원에 남아 계속 고통받아야 하는 건 환자들”이라고 했다.

이들은 이런 일이 다시 생길 때 환자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진료지원 인력을 합법화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 의료인 집단행동 시에도 응급실, 중환자실, 분만실 등 생명과 직결된 필수의료는 정상 작동할 수 있도록 관련 입법을 추진해야 한다고도 했다.

환자단체들은 기자회견 후 대한의사협회와 분당서울대병원에도 항의 방문해 집단 휴진 철회를 촉구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