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자살 사망자 전년보다 33.8% 증가…“유명인 자살 영향”

2024.06.14 17:24 입력 2024.06.14 17:26 수정

한덕수 국무총리가 1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자살예방정책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가 1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자살예방정책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1월 자살 사망자가 지난해보다 33.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말 유명인의 자살 소식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14일 정부는 정부서울청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8차 ‘자살예방정책위원회’를 열고 ‘최근 자살 동향 및 대응 방안’을 발표했다. 지난해 자살 사망자는 1만3770명으로 전년(1만2906명)보다 6.7%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0년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성별로는 남성 자살자가 9626명으로 전년(9019명)보다 6.7%, 여성은 4144명으로 전년(3887명)보다 6.6% 각각 늘어났다.

특히 올해 1분기 자살 사망자가 눈에 띄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월 자살 사망자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34명(33.8%) 증가한 1321명으로 집계됐다. 남성은 303명(44.0%), 여성은 31명(10.4%) 각각 늘었다.

2월에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23명(11.6%) 증가한 1185명이 자살로 사망했다. 남성은 97명(12.5%), 여성은 26명(9.2%) 증가했다. 3월에는 지난해 같은달보다 21명(1.7%) 증가한 1288명이 자살했다. 남성은 33명(3.6%) 늘어났고, 여성은 12명(3.4%) 감소했다.

앞서 정부는 4월26일과 지난달 8일 두 차례에 걸쳐 ‘자살 예방 전문가 자문회의’를 열고 자살 사망 증가 원인을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지난해 12월 유명인 사망 사건 직후 7∼8주간 자살이 증가하면서 ‘모방 자살 경향’이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정부는 자살 방법과 도구, 장소와 동기를 구체적으로 밝힌 보도가 모방 자살을 부추긴다고 보고, 언론에 ‘자살 보도 권고기준’에 따라 신중히 보도할 것을 당부했다. 특히 ‘극단적 선택’ 등 자살을 암시하는 표현 사용을 자제해 달라고 정부는 요청했다.

정부는 최근 유튜브 등에서 유명인의 자살 소식을 알리는 과정에도 문제가 있다고 보고, 뉴미디어 관련 지침을 추가한 ‘자살 보도 권고기준 4.0’을 마련해 연내 발간할 예정이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