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역 돌진 사고

전문가들이 본 시청역 돌진사고 원인은···“속단 이르지만 급발진 가능성 적어”

2024.07.02 16:26 입력 2024.07.02 17:19 수정

지난 1일 밤 서울 시청역 교차로 인근에서 대형 교통사고가 발생해 경찰과 구조대원들이 현장을 수습하고 있다. 권도현 기자

지난 1일 밤 서울 시청역 교차로 인근에서 대형 교통사고가 발생해 경찰과 구조대원들이 현장을 수습하고 있다. 권도현 기자

자동차 전문가들은 지난 1일 밤 15명의 사상자를 낸 서울 시청역 차량 돌진 사고에 대해 “속단하기엔 이르지만 급발진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고 말했다.

2일 사고 현장 인근 폐쇄회로(CC)TV 영상과 목격자의 증언 등을 종합하면 가해 차량 운전자 A씨(68)의 제네시스 차량은 전날 밤 시청역 인근 웨스틴조선호텔을 빠져나와 일방통행인 4차선 도로를 역주행했다. 뉴시스가 공개한 블랙박스 영상을 보면 해당 차량은 다른 차량 2대를 친 다음 사망자들이 있던 서울 지하철 시청역 12번 출구 인근으로 돌진했다. 연합뉴스TV가 공개한 영상에서는 A씨가 운전하던 차량이 다른 차량 및 사망자들과 충돌한 다음 교차로를 넘어가 스스로 멈춰섰다. 경찰은 이날 “급발진이라는 근거는 현재까지는 피의자 진술뿐”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통상적인 급발진 사례와 달라보인다고 말했다. 사고 차량이 충돌 이후 스스로 멈춘 부분이 급발진 사례와 다르다는 것이다. 염건웅 유원대 경찰소방행정학부 교수는 “한국의 급발진 사고 사례를 많이 봤지만 이번처럼 차량이 정지하는 경우는 본 적이 없다”며 “급발진을 겪는 운전자들이 사람을 치는 것을 피하려고 하는 모습도 영상에서는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자동차급발진연구회 회장을 맡고 있는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도 “차량 진행이 5~6초 만에 짧게 끝나는 경우는 급발진이라고 판단하는데 유보적”이라며 “급발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지만 차가 멈출 때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보여 운전자에게 불리한 부분이 많다”고 봤다.

운전자 개인의 상태가 문제였을 수 있다는 진단도 이어졌다. 김 교수는 “사고가 생기면 머릿속이 하얗게 돼서 기억이 안 나면서 급발진을 핑계로 대는 사람이 많다”며 “운전자의 심신에 순간적으로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염 교수도 “운전자와 동승자가 싸우고 나서 차량 돌진 사고가 발생했던 전례도 있어서 동승자와 갈등이 있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경찰 조사에서 밝혀져야 할 내용도 지적했다. 이호근 대덕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차량 후면등이 깜빡였는지, 쭉 켜져 있었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며 “깜빡였다면 긴급제동장치가 작동했으나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브레이크로 착각해 계속 밟아서 앞으로 나갔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경찰은 사고 차량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보내 감식 조사를 할 방침이다. 이 교수는 “시속 8㎞ 이상의 속도 차이가 순간적으로 발생하게 되면 자동차 내 사고기록장치(EDR)에 가속 페달을 밟았는지, 브레이크를 밟았는지, 핸들을 좌우로 얼마나 꺾었는지 등이 기록된다”며 “조사는 최소 1주일 이상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