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통증, 차별 겪어도 노조 있으면 덜 발생

2017.02.01 22:06 입력 2017.02.01 22:12 수정

노동자 2만8532명 비교 조사

심리적 요인에 따른 허리통증 발생률이 직장의 노동조합 유무에 따라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일 김승섭 고려대 보건정책관리학과 교수 등은 영국 의학전문지 ‘소셜사이언스 앤드 메디슨’에 낸 논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논문은 2011년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이 실시한 3차 근로환경조사를 기본 데이터로 활용했다. 성별·교육수준·연령 등으로 차별받은 경험과 허리통증 발생 여부에 응답한 노동자 2만8532명이 분석 대상에 올랐다. 차별을 겪은 노동자의 허리통증 발생률은 그렇지 않은 노동자보다 1.6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에 따른 근육 긴장과 혈류량 증가 등이 원인으로 꼽혔다. 이후 대상자들을 ‘무노조 사업장 노동자’ ‘노조는 있으나 비조합원인 노동자’ ‘노조 가입 노동자’ 등 세 그룹으로 나눈 뒤 차별 경험과 허리통증 발생률을 오즈비(odds ratio·집단 간 비교로 확률을 나타내는 수치) 값으로 산출했더니 첫번째 그룹 오즈비 값은 1.82로 나타났다. 무노조 사업장에서 차별을 겪은 사람의 허리통증 발병률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1.82배 높다는 뜻이다. 특히 정규직·비정규직 등 고용형태 차별을 겪었을 때 오즈비 값은 2.33까지 치솟았다. 김 교수는 “노조가 있다면 차별을 겪어도 바로 근골격계 질환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의미”라며 “부당대우로 인한 충격을 구성원 간 연대로 완충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