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역학조사관인데, 신분증·카드 좀…” 이런 전화 받으면 절대로 알려주지 마세요

2022.02.20 21:45 입력 2022.02.20 22:00 수정

“지원금 대상자 선정돼서…”

‘신분 사칭’ 금융 범죄 기승

최근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을 틈타 질병관리청 역학조사관을 사칭해 피해자 개인정보를 탈취한 뒤 금융계좌에서 돈을 빼가는 범죄가 횡행하고 있다.

20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 따르면 얼마 전 자영업자 A씨는 자신을 질병관리청 역학조사관이라고 소개한 B씨로부터 한 통의 전화를 받았다.

B씨는 “가게에 확진자가 방문해서 코로나19 방역지원금 대상자로 선정됐다”며 “지원금을 지급하려고 하니 신분증과 신용카드 사진을 사회관계망 서비스(SNS)로 보내달라”고 말했다.

이에 A씨는 아무 의심 없이 신분증과 신용카드 사진을 찍어 B씨에게 전송했다. 그러나 지원금이 입금되기는커녕 A씨가 거래하는 은행 계좌에서 해외결제·송금 서비스를 통해 수백만원이 빠져나갔다.

A씨가 계좌번호를 알려주지 않았는데도 B씨가 해당 정보를 입수할 수 있었던 것은 악성 애플리케이션(앱) 때문이다.

B씨는 전화 도중 “SNS로 질병관리청 사이트 인터넷 주소를 보낼 테니 눌러서 들어가보라”고 했다.

A씨가 가짜 인터넷 주소를 눌러 접속하는 사이 B씨가 눈치채지 못하게 악성 앱을 휴대전화에 설치한 것이다. 경찰 조사 결과 B씨는 A씨가 휴대전화 안에 보관 중이던 통장 사진을 보고 은행 계좌번호를 알아낸 것으로 밝혀졌다.

경찰은 질병관리청 역학조사관뿐 아니라 자녀를 사칭해 신분증과 신용카드 사진을 요구하는 수법도 여전히 줄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질병관리청을 비롯해 경찰, 검찰, 금융감독원, 은행 등 그 어떤 정부나 금융기관도 절대 신분증이나 신용카드 사본을 요구하지 않는다”면서 “주민등록번호나 카드·계좌번호와 같은 개인정보와 금융정보를 알려달라고 하지 않는다는 점을 꼭 기억해달라”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