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분향소 15일 강제 철거하나…유가족 측 “서울광장 외 대안 없다”

2023.02.12 15:57 입력 2023.02.12 17:22 수정

서울광장에 설치된 10·29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에서 12일 시민들이 추모하고 있다. 권도현 기자 이미지 크게 보기

서울광장에 설치된 10·29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에서 12일 시민들이 추모하고 있다. 권도현 기자

서울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참사 분향소의 대안 공간을 두고 서울시와 참사 유가족 측의 간극이 좁혀지지 않고 있다. 오는 15일 예고된 강제 철거가 현실화하면 양측의 충돌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12일 서울시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까지 추모를 위한 대안 공간을 제시해 달라는 서울시의 요청을 유가족 측은 거부했다. 참사 유가족 측은 현재 분향소가 설치된 서울광장 외에는 대안은 없고, 이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서울시는 분향소가 광장에 “기습적으로 불법·무단 설치됐다”는 점을 들어 “원리·원칙에 따라 행정대집행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재차 확인했다. 서울시는 앞서 두 차례 자진 철거를 계고했다. 지난 8일까지였던 시한이었던 대집행은 오는 15일 오후 1시로 미뤄진 상태다.

서울시는 당초 유가족 측이 지하철 6호선 녹사평역 내 공간을 요구해 지하 4층에 추모 공간을 마련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유가족 측은 접근성 등의 문제가 있어 분향소 장소로 적절하지 못하다며 이를 거부했다.

서울광장 분향소 철거 시한이 연장돼 아직 시간이 남아 있기는 하지만 양측의 이견이 조율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 서울시 관계자는 “대안이 될만한 장소를 서울시가 추가로 제안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접점을 찾지 못하면 철거를 두고 양측의 충돌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분향소 갈등에 대해 김현기 서울시의회 의장은 “시의회가 중재에 나설 수 있다”는 의사를 밝혔다.

김 의장은 지난 10일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생때같은 자식을 잃은 부모님들의 마음을 헤아리면 한발 물러서서 설득과 대화로 해결해야 하지 않겠나 하는 생각을 갖고 있다”며 “서울시와 접점이 없으면 의회가 나설 수도 있다”고 말했다.

세월호 추모 공간 역시 광화문광장에 설치됐다가 철거돼 현재 시의회 앞 기억공간으로 옮겨 지난해 계약 기간이 끝난 이후에도 유지되고 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