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성 논란 ‘직구’…서울시, 민간 기관과 협력해 계절 제품 검사 강화

2024.05.24 06:00 입력 2024.05.24 10:43 수정

7~8월부터 물놀이용품·우산 등 집중 검사

지난 16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박상진 소비자보호팀장이 인체발암 가능 물질이 검출된 해외직구 어린이용 머리띠와 시계를 들어 보이고 있다. 해당 제품에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기준치의 최대 270배 초과 검출됐다. 연합뉴스

지난 16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박상진 소비자보호팀장이 인체발암 가능 물질이 검출된 해외직구 어린이용 머리띠와 시계를 들어 보이고 있다. 해당 제품에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기준치의 최대 270배 초과 검출됐다. 연합뉴스

정부가 ‘직구 규제’ 철회 방침을 밝힌 이후 자체 안전성 검사를 강화한 서울시가 민간 기관과 품질 관리 시스템을 구축했다. 향후 계절성 수요가 큰 제품을 집중 검사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24일 국가기술표준원 안전인증기관인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FITI시험연구원·KATRI 시험연구원과 해외 온라인 플랫폼 소비자 보호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협약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이상욱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부원장, 김화영 FITI시험연구원장, 신동준 KATRI 시험연구원장 등이 참석한다.

KCL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놀이기구(물놀이 포함)·자동차용 어린이보호장치·비비탄총 등 어린이용 모든 품목을 인증할 수 있는 기관이다. FITI시험연구원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유관기관이자 한국인정기구(KOLAS) 1호 국제공인시험기관이다. 1965년 출범한 KATRI시험연구원 역시 국제공인 종합시험인증기관이다.

이들 기관은 중국 직구 플랫폼 제품의 유해성 문제가 불거진 지난 4월 서울시가 시작한 안전성 검사에 참여해 왔다.

서울시 관계자는 “직구 제품이 연일 쏟아져 들어오는 가운데 시민의 건강과 안전을 체계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3개 민간 검사 전문기관과 손을 잡았다”며 “철저한 품질·안전성 검사로 안전한 소비문화가 뿌리내릴 수 있게 하겠다”고 전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검사 비용은 서울시와 각 기관이 50%씩 부담한다. 식품용 기구, 위생용품, 화장품 등은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의 전문 인력 10명도 배치한다.

그동안 어린이용 제품 중심으로 검사한 데 이어 식품용기와 위생용품 등으로 대상을 확대한다. 특히 7~8월에는 여름철 소비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물놀이용품과 우산, 선글라스 등을 집중적으로 검사한다.

오 시장은 “소비자 선택권은 충분히 보장돼야 하나 시민의 안전을 지키는 것도 서울시의 책무”라며 “적극적으로 안전성 검사를 해온 서울시는 이번 협약으로 협력 체계를 확립해 안전을 보장하는 모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