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아리셀 참사는 총체적 부실로 인한 참사”···사망자 첫 장례절차 진행

2024.06.28 14:46 입력 2024.06.28 15:06 수정

이주노동자들과 시민·사회 단체들로 구성된 화성공장화재이주민공동대책위원회 회원들이 27일 경기 안산시 단원구 다문화공원에 마련한  화성 일차전지 공장 화재 사고 추모분향소에서 헌화하고 있다. 조태형 기자

이주노동자들과 시민·사회 단체들로 구성된 화성공장화재이주민공동대책위원회 회원들이 27일 경기 안산시 단원구 다문화공원에 마련한 화성 일차전지 공장 화재 사고 추모분향소에서 헌화하고 있다. 조태형 기자

31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경기 화성 아리셀 화재 사고를 수사 중인 경찰은 ‘화재 원인’과 ‘화재 확산 및 대피 지연의 이유’ 등 크게 두 방향에서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경기남부경찰청 아리셀 화재 사고 수사본부는 리튬전지 제조 공정과 안전 분야에 관한 서류 등 아리셀 압수수색에서 확보한 자료를 분석해 제조공정과 운반 과정, 원료 물질의 취급 등에서 문제가 있었는지를 파악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경찰은 이번 사고와 관련해 참고인과 목격자 등 20여명에 대해 조사했다. 또 피의자를 소환해 관련 내용을 확인할 방침이다.

경찰은 불이 난 아리셀 공장 3동의 불법 구조 변경 의혹을 살피고 있다. 2018년 건축허가를 받을 당시의 이 건물 2층 평면도에는 발화 지점 주변에 가벽이 있었다. 하지만 화재 당시 폐쇄회로(CC)TV를 보면 가벽이 없고 모든 공간이 개방된 상태이다.

가벽이 있었다면, 연기 확산을 막아 인명피해를 줄였을 것이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경찰은 가벽이 존재했을 경우 유독가스 확산을 지연시켰을 가능성이 있는지 전문가 감정과 자문을 구할 예정이다.

국립과학수사연구소는 경찰에 보낸 구두소견에서 사망원인을 질식사로 봤다. 화재로 인해 유독가스가 발생하고, 산소가 줄면서 사망에 이르렀다는 뜻이다. 공식적인 사망원인은 부검감정서가 도착해야 알 수 있다. 부검감정서는 통상 2~3주 소요되나 사안이 중대하고, 국민적인 관심사인 만큼 더 빨라질 수도 있다. 반면 사망자 수가 많아 예상보다 지연될 가능성도 있다.

리튬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작업장 외 별도의 장소에 보관해야 하고, 작업장 안에는 필요한 양만 둬야 하는 위험물이다. 화재 당시 CCTV 영상을 보면 처음 불꽃이 튄 전지 옆에 전지가 상자째 쌓여있었다.

아리셀이 작업장과 구분되지 않은 공간에 리튬전지를 다수 적재해놓고 있었다면 법규 위반일 수 있다. 화재가 발생할 순 있지만 환경이 달랐다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찰은 화재 당시 작업장 여건이 어땠는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등 관계 규정을 준수했는지 여부를 살펴보고 있다.

경찰은 이번 화재를 여러 요인이 결합한 총체적 부실에 의한 참사로 보고 있다. 압수수색으로 확보한 자료가 상당한 양이라 오는 주말 사이에는 압수물 분석에 주력할 계획이다.

한편, 아리셀 화재 사망자 23명 중 1명의 장례 절차가 시작됐다. 당국에 따르면 이날 경기도 내 모 병원 장례식장에 사망자 A씨의 빈소가 차려졌다. 이번 화재 사망자의 빈소가 마련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A씨의 발인은 오는 30일 오전인 것으로 알려졌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