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학기를 마치며

코로나 학기, 비대면 수업으로 얼굴도 한번 못 본 우리 학생들, 안녕하세요. 지난 학기 저는 여러분과 <인간학>이란 교과목으로 ‘사람’과 ‘삶’에 관해 얘기를 나눴습니다. 인간 이해의 관점으로 ‘근원적 유대’를 반복해 강조했던 걸 기억하겠지요. 모든 게 긴밀히 연결된 세계를 하나의 ‘집’으로 보면 우리는 그 집의 구성원이고 경제(오이코노미아)는 집(오이코스)의 ‘살림살이’를 뜻합니다. 하지만 근대의 자연과학적 관점은 모든 것을 고유성과 생명을 제거한 ‘물질’로 균질화합니다. 물질과 운동만 남은 추상의 세계는 기계로 재구성되고 그 안의 모든 것은 부품으로 재탄생합니다.

조현철 신부 녹색연합 상임대표

조현철 신부 녹색연합 상임대표

근원적 유대를 제거한 기계론적 세계관은 산업주의 시장 경제의 풍요로운 토양이 되었습니다. 산업화로 자연은 자원의 창고와 개발의 대상으로 끊임없이 파헤쳐졌습니다. 분업과 기계화로 생산과 소비가 늘고 시장이 사회의 중심이 되었습니다. 시장 사회는 모든 것을 상품화합니다. 코로나19 백신은 전 인류에게 필요한 공공재 같지만 개발된 백신은 시장의 상품입니다. 백신을 확보하려면 구매력과 협상력이 뛰어나야 합니다.

시장은 ‘신’이 되었습니다. 우리는 ‘시장 신’을 믿는 ‘호모 에코노미쿠스’입니다. 많이 생산하고 소비할수록 좋다는 시장의 ‘교리’를 충실히 따릅니다. 상품의 생산과 소비의 증가를 뜻하는 성장은 곧 행복을 뜻합니다. 필요가 아니라 성장을 위해 생산과 소비를 늘립니다. 그만큼 자원을 더 소비하고 쓰레기를 더 생산합니다. 하지만 시장의 교리에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은 드뭅니다.

우리는 온실가스로 계속 지구를 데웠고 이제 기후변화는 모두의 위기가 되었습니다. 성장을 위한 개발과 채굴로 서식처를 잃은 야생동물이 사람의 자리로 들어오며 바이러스도 따라왔습니다. 우리가 시장의 충실한 신자인 한, 코로나19 팬데믹은 재난의 끝이 아니라 시작일 겁니다. 성장의 환상에서 깨어날 때가 되었습니다. 아니, 이미 지났습니다.

여러분이 매주 제출한 과제에서 미래에 대한 희망과 용기와 함께 현실에서 오는 좌절과 두려움도 보았습니다. 맞습니다. ‘현실’이라는 거대한 흐름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 흐름에 여러분 자신을 맡겨버리지 말았으면. 그러기에 여러분은 아직 너무 큰 가능성입니다. 여러분이 더 오래 지낼 이 세상입니다. 사회적 의제에 관심을 기울이고 행동하길 바랍니다. 그렇지 않으면 이윤과 성장, 사회적 불평등과 자연생태계 훼손을 기반으로 하는 시장 사회의 흐름은 계속될 겁니다, 파국이 올 때까지. 하지만 그렇게 내버려 둘 수 없다며 애쓰는 사람들이 우리 주위에 있습니다. 함께, 여러분도 변화를 만들면 좋겠습니다. 시장을 ‘집’으로, 시장 경제를 ‘삶의 경제’로 바꾸는 변화 말입니다.

거대한 흐름을 바꾸는 게 가능할까? 의문과 우려는 당연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민주화 역사만 보아도 변화는 성공과 승리보다 실패와 좌절로 생겨났습니다. 개인의 삶도 비슷하지요. 목표의 달성이 아니라 목표에 다가가려는 노력이 우리를 바꿉니다. ‘실현 가능한지’가 아니라 ‘해야 할 것인지’를 고민해야겠지요.

모두, 몸과 마음의 건강을 빕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