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제67주년 4·3희생자 추념식을 맞이하여

2015.04.01 20:52 입력 2015.04.02 10:41 수정
김용철 | 제주도청 4·3지원과장

2014년 3월24일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 개정을 통해 제주 4·3사건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어 역사적인 첫 번째 추념식을 봉행했던 감격적인 순간을 잊을 수 가 없는데, 벌써 1년이 다 되어간다. 돌이켜보면 도민들과 유족들은 지난 10여년간 제주 4·3 문제의 해결을 위해 생업을 포기하면서 헌신적으로 정부를 상대로 현안 해결을 줄기차게 요구해 왔다. 그 노력의 산물로 2000년 제주4·3특별법 제정, 2003년 진상조사보고서 발간 2006년 대통령 사과, 2008년 제주4·3평화재단 설립, 2014년 국가기념일인 4·3희생자 추념일 지정 등 굵직굵직한 현안들이 하나하나 이루어진 것이라고 본다.

[기고]제67주년 4·3희생자 추념식을 맞이하여

혹자들은 4·3 진상규명도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국가 기념일 지정도 되었으니 그 정도면 된 거 아니냐고 얘기들 한다. 하지만 우리 4·3이 가야 할 길은 아직 멀다. 도에서는 지난 2000년부터 생활고에 시달리는 후유장애의 의료비 경감을 위해 진료비를 지원해왔으며, 2009년에 61세 이상 고령 유족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한 바 있다. 2011년에는 생존자와 80세 이상 1세대 유족들이 최소한의 생계를 꾸려나가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생활보조비를 지원해오고 있다. 앞으로도 도에서는 4·3의 교훈을 후대에게 전달하고 역사의 아픔을 승화하여 인권의 가치가 존중되는 사회를 만들어 나가는 데 노력을 다해 나갈 계획이다.

이제 두 번째 추념식을 준비하고 있다. 도에서는 유족과 도민, 그리고 관련 참가자가 하나가 되는 행사를 위해 박근혜 대통령의 추념식 참석을 수차례 요청한 바 있다. 대통령이 제67주년 4·3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하여 4·3으로 인한 과거의 아픔을 뛰어넘어 화해와 상생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주길 간절히 바라고 있다.

지난해까지는 제주4·3평화재단에서 주관하던 추념식을 올해부터는 도가 주관하게 되었다. 추념식 슬로건을 공모한 결과 ‘제주의 평화마음 세계로·미래로’가 선정됐다. 도는 4·3 해결과정에서 제주인이 보여준 평화 사랑을 세계에 알리고, 67년 전 억울하게 희생된 4·3 희생자의 넋을 기리고 위로할 것이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