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천신일 수사, 연평도에 묻혀선 안된다

2010.12.01 21:37 입력 2010.12.01 23:36 수정

천신일 세중나모여행 회장이 귀국 하루 만인 어제 검찰에 소환돼 조사받았다. 지난 2005∼2008년 대우조선해양의 협력업체인 임천공업 이수우 대표로부터 은행 대출 알선 및 세무조사 무마 등 청탁과 함께 40억여원을 받은 게 그의 첫 번째 혐의다. 검찰은 어제 조사에서 천 회장을 상대로 임천공업과 계열사를 위해 산업은행 등에 부당하게 대출 압력을 넣었는지, 또 지난해 세무조사 때 편의를 보도록 영향력을 행사했는지를 집중적으로 확인했다. 검찰은 이 대표로부터 천 회장 집으로 찾아가 26억원을 건넸다는 진술을 이미 확보한 것으로 알려진 만큼 이 부분에 대한 결론은 곧 나올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이명박 대통령의 40년 지기이자 현 정권 실세로 통하는 천 회장의 대우조선해양 남상태 사장 연임 로비 의혹에 대한 수사다. 이에 대한 결론이 어떻게 나느냐에 따라 이 사건이 권력형 게이트로 번질지, 아니면 개인 비리로 끝날지가 결정된다. 민주당 강기정 의원이 대통령 부인의 연루 의혹을 제기한 것도 바로 이 사건과 연결된 만큼 이의 진위 규명도 필요하다. 검찰 관계자는 어제 “필요한 부분이 있으면 살펴보겠다”고 말해 이에 대해서도 조사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귀남 법무장관과 김준규 검찰총장 역시 여러 차례 국회 답변 등을 통해 “남 사장 연임 로비 의혹 부분도 들여다보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정치권 등에서 상당한 의혹들이 제기된 만큼 철저한 수사를 통해 진실을 밝혀야 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하지만 몇몇 의심스러운 정황 때문에 벌써 천 회장에 대한 수사가 꼬리자르기식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먼저 천 회장의 귀국 시점이 하필 북한의 연평도 포격으로 어수선한 때냐는 것이다. 3개월 넘게 해외에 머무르며 검찰 소환에 불응하던 그가 귀국하자마자 휠체어를 타고 입원하는 모습에 국민들은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그의 급거 귀국이 여권과 검찰, 천 회장 간 교감의 결과가 아니냐는 것이다. 더구나 검찰은 지난 8월 임천공업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이고도 천 회장의 출국을 제지하지 않아 수사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검찰은 이수우 대표와 천 회장의 관련 혐의뿐 아니라 대우조선 남 사장 연임 로비 의혹 건도 철저히 밝혀야 한다. 민간인 불법사찰 수사처럼 소극적인 수사로 일관해 의혹을 자초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 현 검찰은 살아있는 권력에 대해 유독 약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검찰 전체의 신뢰가 이번 수사에 달려 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