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전 금감원장마저 연루된 저축은행 비리 의혹

2011.06.01 20:37

김종창 전 금융감독원장을 둘러싼 부산저축은행 비리 의혹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 김 전 원장은 이미 구속된 은진수 전 감사원 감사위원으로부터 부산저축은행의 구명을 청탁받았다는 의혹과 관련해 검찰 소환을 앞두고 있다. 여기에다 김 전 원장이 지난해 부산저축은행에 투자했던 아시아신탁의 이사로 재직했던 사실이 새로 드러나 이 회사의 투자 및 투자금 회수와 관련한 의혹이 고개를 들고 있다. 금감원은 이번 저축은행 불법·비리 수사를 통해 부패 실상이 적나라하게 드러나 이미 감독기관으로서의 신뢰가 땅에 떨어진 상태다. 하지만 감독원의 전 수장마저 비리 의혹의 당사자로 지목되고 있다는 사실이 주는 충격과 실망은 차원이 다르다.

보도에 따르면 아시아신탁은 지난해 6월 부산저축은행 유상증자에 참여해 90억원을 투자한 뒤 같은해 9월과 12월에 주식을 처분해 47억원을 회수하고 나머지는 부산저축은행이 영업정지되면서 회수하지 못했다고 한다. 김 전 원장은 부인 명의로 갖고 있던 아시아신탁 주식 4만주를 2008년 3월 금감원장 취임 직전 모두 처분했다. 하지만 김 전 원장은 2007년 아시아신탁 설립에 간여해 이사로 재직한 바 있고, 옛 재무부 출신 후배가 이 회사의 회장을 맡고 있어 금감원장 재임 중에도 이 회사에 영향력을 행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김 전 원장이 은 전 감사위원 등의 요청을 받아 아시아신탁으로 하여금 부산저축은행 증자에 참여케 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나오는 이유다. 아시아신탁이 투자한 지 6개월 만에 투자금의 절반을 회수한 과정도 석연치 않고, 회수하지 못한 43억원을 부산저축은행이 비자금으로 메워줬다는 미확인 보도도 있다. 아시아신탁이 부산저축은행에 투자하게 된 경위와 김 전 원장의 역할에 의혹이 쏠릴 수밖에 없다.

김 전 원장은 금감원장 재직 중 저축은행의 부실 처리에 소극적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저축은행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이 눈덩이처럼 커지는 상황에서도 이런 저런 이유로 본격적인 구조조정을 미뤘다. 물론 이런 정책 결정에는 금감원장보다 금융위원장이나 그 윗선의 의중이 더 중요하지만 권력 실세들의 청탁에 의해 그가 총대를 멨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 전 원장을 둘러싼 의혹은 아직 분명히 규명되지 않았다. 하지만 ‘금융계의 검찰’로 불리는 감독기관의 최고 책임자가 금융회사 불법·비리 의혹의 도마에 오른 것만으로도 부끄럽고 개탄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