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목희·단병호, 현장 노동운동 출신 ‘격돌’

2005.12.01 18:21

열린우리당 이목희 의원과 민주노동당 단병호 의원.

노동운동가 출신인 두 의원이 1일 비정규직 법안 처리를 놓고 각각 여권과 노동계를 대변하는 ‘대리전’을 치렀다. 다만 이의원은 ‘여당 프리미엄’ 속에 자신에 찬 표정이었으나 단의원은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의 분열상을 반영하는 듯 다소 움츠린 모습이었다. 먼저 마이크를 잡은 이의원은 “(단의원 주장을) 뜯어보면 노동자 대중을 절망속에 몰아넣는 내용”이라고 주장했다. 출산·육아·질병·부상, 계절적 사업 등에만 기간제 근로자를 허용할 경우 근로자들의 대량 실직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이었다.

이의원은 “비정규직 노동자 대중의 고통을 가지고 그런 식으로 선동정치를 해선 안된다. 운동과 정치가 왜 이렇게 비겁한지 모르겠다”고 비난했다. 단의원에 대해서도 “지도자 역할을 하려면 때론 결단이 필요하다. 강경 극좌파를 대변해선 안된다”고 말했다.

이에 맞서 단의원은 “기간제 사용 사유(직종)를 제한하지 못하면 (고용자의) 남용을 막을 수 없다”고 조목조목 반박했다. “협상으로 사용 사유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지만 포기할 수는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런 단의원의 표정은 무거웠다. “괴롭다”고 말했다. 한국노총이 비정규직법안 수정 의견을 밝혀 입장이 난처해진 측면도 없지 않았다. 그는 그러나 “이의원에 대해 개인적 언급은 삼가겠다. ‘입장차이는 명백하구나’ 생각한다”며 말을 아꼈다.

두 사람의 역정은 닮은 듯하면서도 닿지 않는 평행선을 연상케 한다. 단의원은 포항 동지상고 중퇴 뒤 철저히 현장에서 잔뼈가 굵었고, 전노협 1~4대 위원장, 민주노총 3·4대 위원장 출신으로 노동운동을 이끈 상징적 존재다.

이의원은 서울대 무역학과 졸업 후 전국섬유노조에 뛰어들어 1980년대 경인지역 지하노동계에서 활약했고, 노사정위 상무위원을 지냈다.

〈전병역기자〉

- 대한민국 희망언론! 경향신문, 구독신청(http://smile.khan.co.kr) -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