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신주류 ‘좌회전’ 가속페달

2011.05.23 21:59 입력 2011.05.24 01:11 수정

등록금 반값… 일자리 창출… 한나라發 서민 정책 ‘봇물’

구주류 “票퓰리즘 나라 결딴” 반발

황우여 대표 “내 페이스대로 갈 것”

한나라당 신주류의 ‘좌클릭’이 가속화하고 있다. 새 원내지도부는 등록금 반값 인하에 이어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방안 및 보육정책 등을 잇달아 발표할 계획인 것으로 23일 알려졌다. 심각한 민생난으로 내년 총선에서 위기를 맞을 것이란 우려가 정책기조 변화의 배경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과거 한나라당이 ‘좌파 포퓰리즘’으로 비난하던 정책들이고, 당내 구주류와 청와대가 ‘정체성’ 문제를 제기하면서 당·청 갈등 기류도 나타나고 있다.

정책위는 일자리 창출 지원과 복지 사각지대 해소, 보육 및 기초노령연금 등과 관련된 ‘친서민 정책 시리즈’를 발표할 계획이다. 정책의 실현성 담보를 위해 ‘서민예산 10조원’을 확보한다는 계획도 세워놓았다. 재원 마련의 핵심축으로 추가 감세 철회를 잡고 있기도 하다.

정책위가 이날 방송통신위원회가 마련한 통신요금 인하 방안에 대해 “우리 국민이나 당이 기대하고 있는 것과는 거리가 있다”(이주영 정책위의장)며 합의를 거부한 것도 ‘친서민 지향’ 정책의 연장선이다.

<b>소곤소곤</b> 한나라당 황우여 원내대표가 23일 서울 대방동 여성프라자에서 열린 사회복지사의날 기념식에서 걸려온 전화를 받고 있다. | 연합뉴스

소곤소곤 한나라당 황우여 원내대표가 23일 서울 대방동 여성프라자에서 열린 사회복지사의날 기념식에서 걸려온 전화를 받고 있다. | 연합뉴스

황우여 원내대표는 이날 언론 인터뷰에서 ‘반값 등록금’에 대한 정부·청와대의 불만 기류에도 불구하고 “젊은 세대에게 부채를 물려주는 게 맞느냐. 내가 생각한 페이스대로 갈 것”이라고 재차 강한 소신을 피력했다.

좌클릭의 배경에는 내년 총선·대선을 앞둔 여권의 위기감이 깔려 있다. 특히 수도권 소장파들이 주축인 신주류는 지금처럼 친기업·친부자로 비치는 기득권 위주의 국정기조를 고집할 경우 총선·대선에서 필패할 것이란 공포를 토로했던 터다.

‘새로운 한나라’ 소속 정태근 의원은 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당이 보수가치만 강조하다 민생문제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면서 “국민이 지금 이명박 정부에 무엇을 원하고 있는가를 정확히 읽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두언 의원도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좌클릭=민주당 따라하기’라는 비판에 대해 “민주당과 달라야 하는 게 지상목표가 아니라, 국민의 지지를 받는 게 목표”라며 “보수는 약자보호·절제·희생·봉사·헌신·기여·의무이행의 덕목을 실천하는 자기 혁신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비는 결국 ‘재원’ 문제다. 당내 구주류 측이 ‘포퓰리즘’ 등 정체성 논란과 함께 반격 지점을 삼는 것도 이 부분이다. 야당의 복지확대 정책을 공격했던 지점이고, 이명박 정부 이후 심각해진 국가재정 상황을 감안해도 현실적으로 약한 고리이기 때문이다.

전임 정책위의장인 심재철 의원은 “아무리 표가 급해도 우리의 재정에 맞지 않는 표(票)퓰리즘을 내세우면 나라만 결딴난다”고 ‘반값 등록금’을 비판했다. 장제원 의원은 트위터에서 “(반값 등록금을) 전폭적으로 지지한다”면서도 “재원 마련을 감세 철회로 국한하면 또 다른 논란이 시작되니 논의구조를 신중히 가져가야 이룰 수 있다”고 지적했다.

향후 친서민 정책을 둘러싼 신·구주류의 ‘가치 투쟁’은 갈수록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새 원내지도부와 신주류가 하나하나 서민지향 정책들을 내놓으면 내놓을수록 구주류의 “야당 따라하기” “정체성 상실” 공격도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 논쟁은 결국 7·4 전당대회에서 당원들의 선택으로 분수령을 맞을 상황이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