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여론조사

총선, ‘국정운영 지원’ 36%, ‘정부독주 견제’ 54%

2023.12.31 17:47 입력 2023.12.31 19:21 수정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100여일 앞둔 31일 서울 종로구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 입구에 선거 날짜 현황판이 서 있다. 권도현 기자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100여일 앞둔 31일 서울 종로구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 입구에 선거 날짜 현황판이 서 있다. 권도현 기자

새해 4월 총선에서 윤석열 정부의 독주를 견제해야 한다는 의견(54%)이 정부의 국정운영을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36%)보다 18%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별로 50대 이하는 정부견제론으로, 60대 이상은 정부지원론으로 극명하게 갈렸다.

경향신문이 새해를 맞아 여론조사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지난 12월 29일~30일 전국 18세 이상 성인 1001명에게 물은 결과 ‘윤석열 정부의 국정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여당 후보에게 투표해야 한다’(정부지원론)는 응답이 36%, ‘윤석열 정부의 독주를 견제하기 위해 야당 후보에게 투표해야 한다’(정부견제론)는 응답이 54%였다. 모름·무응답은 10%였다.

세대별 응답차가 컸다. 정부지원론과 정부견제론의 비율이 20대(18·19세 포함)에서 25% 대 58%, 30대에서 28% 대 60%, 40대에서 20%대 73%로 2배 이상 차이났다. 50대에서도 33%대 62%로 2배 가까이 야당에 투표해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반면 60대에선 52% 대 40%, 70대 이상에선 59% 대 25%로 현 정부·여당 지지세가 커 ‘세대전쟁’ 양상을 띠었다.

[신년여론조사] 총선, ‘국정운영 지원’ 36%, ‘정부독주 견제’ 54%

엠브레인퍼블릭

엠브레인퍼블릭

이념 성향 중도층에서는 29% 대 58%, 지역별로 서울에선 36% 대 57%, 경기·인천에선 30% 대 58%였다. 이번 총선의 승부처로 꼽히는 ‘중·수·청’(중도·수도권·청년)에서 모두 정부견제론이 앞섰다.

정부견제론 응답자에게 여당을 지지하지 않는 이유를 물으니,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한 부정적 판단이란 응답이 45%로 가장 높았다. 집권여당의 능력 부족을 지적한 응답은 28%, 윤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 여사의 사법리스크가 17%로 뒤를 이었다. 반대로 정부지원론 응답자에게 야당을 지지하지 않는 이유를 물은 결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사법리스크가 48%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민주당의 국회 다수당으로서 행보가 부정적이란 판단이 30%였다.

이번 조사에서 윤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는 29%, 부정 평가는 49%, ‘어느 쪽도 아니다’는 18%였다. 지난 28일 국회를 통과한 김 여사 주가조작 의혹 특별검사법에 대한 대통령의 거부권(재의요구권) 행사에는 부적절하다는 응답이 62%로 적절하다(23%)보다 3배 가까이 높았다.

해병대 채모 상병 사망 사건 및 수사 관여 의혹의 진상을 밝히려 특검 수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은 73%로,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20%)을 압도했다. 정부가 새해 연구개발(R&D) 예산을 삭감한 데 대해선 잘못한 결정이란 의견(57%)이 잘한 결정이란 의견(29%)을 크게 앞섰다.

이번 조사는 100% 무선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15.2%,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