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와 달리 ‘윤심’ 후보 안 보이는 국민의힘 전당대회

2024.06.14 16:55

지난해 3월8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전당대회에 참석해 손을 들어 인사하는 윤석열 대통령.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지난해 3월8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전당대회에 참석해 손을 들어 인사하는 윤석열 대통령. 대통령실사진기자단

국민의힘 전당대회가 한 달여 앞으로 다가왔지만 ‘윤심’(윤석열 대통령의 의중) 당대표 후보가 보이지 않는다. 윤심이 지배했다는 평가를 받는 지난해 3·8 전당대회와 확연히 달라졌다.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 대세론이 형성된데다 총선 참패와 20%대에 머무는 윤 대통령 지지율을 고려하면 이번에는 윤심 영향이 미약할 거란 분석이 나온다.

성일종 국민의힘 사무총장은 14일 SBS라디오에 나와 “이달 23~24일부터 전당대회 후보 등록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전날 당 지도부가 ‘당원투표 80%, 여론조사 20%’ 등 규칙(룰)을 정한 후 본격적인 전당대회 절차에 들어간 모습이다. 한 전 위원장을 비롯해 나경원·안철수·윤상현·김재섭 의원, 유승민 전 의원 등이 당대표 출마자로 주로 거론된다.

원내 주류인 친윤석열(친윤)계에선 권영세·권성동·윤재옥 의원 이름이 나오지만 확고한 당권주자로 부각되진 않고 있다. 윤 대통령 의중이 어느 후보에게 있는지도 거론되지 않는 분위기다.

지난해 3·8 전당대회 레이스에서 5~6위권의 낮은 지지율로 시작한 김기현 전 대표가 윤심을 등에 업고 당원들의 과반 지지를 확보하며 당선된 것과 대비된다. 당시 친윤계는 전당대회 룰을 윤심이 작동하기 쉬운 당원 100%로 바꿨고, 대통령실 관계자가 당대표 후보군인 나경원·안철수 의원을 공개비판하기도 했다.

이번엔 김 전 대표와 같은 윤심 후보가 없을 것이란 전망이 많다. 윤 대통령과 ‘윤·한갈등’을 빚은 한 전 위원장이 일찌감치 대세론을 형성했기 때문이다. 대통령 인기가 낮은데 윤심 후보를 내세웠다가 그 후보가 낙선하면 대통령의 레임덕이 가속화할 수도 있다. 한 중진 의원은 “작년엔 정권 초에다가 총선 공천을 받아야 하니까 의원들이 말을 잘 들었지만, 지금은 대통령이 누구를 지지하라고 해도 말을 들을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친윤계에선 한 전 위원장이 대표가 되는 것은 막을 수 없다고 보고, 대표가 된 이후 전략을 모색하는 기류가 감지된다. ‘한동훈 대표’ 체제가 오래가지 못할 것으로 판단하면서 다음 비대위 체제나 전당대회를 노리는 것으로 보인다.

전당대회 레이스가 시작되면 친윤계가 전략적으로 한 전 위원장의 대항마를 밀어줄 것이란 관측도 있다. 최근엔 나 의원이 전날 “당대표를 뽑는 전당대회의 민심 비율은 공직 추천 때보단 적게 하는 것이 맞다”고 하는 등 메시지에서 친윤계와 주파수를 맞추고 있다. 나 의원이 주도하는 ‘국회 인구와 기후 그리고 내일’ 포럼엔 친윤계 핵심 이철규 의원이 참여했다. 전날 포럼 행사에도 이만희·김상훈·정희용·강민국·주진우 등 친윤계 의원들이 대거 참석했다.

친윤계가 젊은 김재섭 의원을 포섭할 것이란 얘기도 있다. 하지만 김 의원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제 정치적 소임은 친윤이라는 이름으로 당을 망쳐놓은 사람들을 개혁하는 것”이라며 “친윤의 지원을 받거나 이럴 생각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