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아이디어로 대구에 ‘프러포즈 성지’ 만든다…비용만 110억원

2024.06.19 14:52 입력 2024.06.19 15:40 수정

세부 디자인 확정, 연내 설계

연인·가족 방문객 불러모으는

전국적인 명소로 조성할 계획

‘신천 프러포즈’ 조감도. 대구시 제공

‘신천 프러포즈’ 조감도. 대구시 제공

홍준표 대구시장이 도심 하천 공원에 100억원이 넘는 예산을 들여 ‘프러포즈 성지’를 만들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이곳을 전국적인 명소로 키워 연인과 가족단위의 방문객을 불러모으겠다는 것이다. 시민단체는 시대에 뒤떨어진 발상이라며 비판하고 나섰다.

대구시는 19일 대구시청 동인청사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이른바 ‘신천 프러포즈’ 조성사업을 발표했다. 사업비는 공사비 105억원과 설계비 5억원 등 모두 110억원이다. 현재 세부 디자인을 확정했으며 올해까지 설계작업을 마칠 계획이다. 대구시는 2026년까지 공사를 끝낼 것으로 예상한다.

‘신천 프러포즈’는 연인과 가족에게 사랑과 행복을 약속하는 공간으로 조성된다고 대구시는 설명했다. 연인들의 약속 상징인 반지를 형상화한 링 구조물 형태로 건설된다.

다양한 공간를 배치해 연인들의 프러포즈는 물론 가족단위 나들이에 필요한 먹을거리와 볼거리, 즐길거리가 있는 전국적인 명소로 만들어 나갈 방침이다. 프러포즈 라운지·이벤트 부스·다목적 광장 등의 공간이 들어선다.

핵심 공간인 ‘프러포즈 라운지’는 복층구조의 윗공간에 위치한다. 연인들이 특색있는 바닥조명 위를 걸으며 수변경관을 살필 수 있는 러브로드와 두 사람만의 프러포즈를 위한 프라이빗 간이 이벤트룸인 프러포즈룸 등으로 구성된다.

사랑을 약속하며 자물쇠를 걸 수 있는 프라미스존 등도 자리잡는다. 대구시는 이곳을 청춘남녀의 프러포즈 전용공간으로 만들 계획이다.

장재옥 대구시 맑은물하이웨이추진단장이 19일 대구시청 동인청사에서 신천 프러포즈 조성사업을 설명하고 있다. 백경열 기자

장재옥 대구시 맑은물하이웨이추진단장이 19일 대구시청 동인청사에서 신천 프러포즈 조성사업을 설명하고 있다. 백경열 기자

복층구조 아래공간인 이벤트 부스의 경우 카페 및 스낵라운지로 운영되는 식음료부스, 프러포즈 이벤트에 필요한 꽃과 자물쇠 등을 판매하는 아이템부스 등으로 채워진다. 신천을 알리고 다양한 전시가 가능한 홍보부스 등도 설치될 예정이다.

다목적 광장은 원형 내부 공간으로 대형 미디어파사드를 통해 다양한 영상을 내보낸다. 버스킹 공연과 신청자들의 프러포즈 이벤트 및 작은 결혼식을 할 수 있는 멀티존, 크리스마스 트리 등 계절별 조형물을 연출한다. 포토존 및 키즈카페 수준의 플레이존도 조성해 연인·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공간을 배치한다.

대구시는 신천 및 도로에서 접근이 쉽도록 신천 둔치 좌·우안 및 대봉교 보행로에서 연결되는 총 4곳의 진·출입로를 설치한다. 또 대봉교 하류에 프러포즈 이벤트 신청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이벤트 전용 주차공간(20여대)을 사전예약제로 운영하기로 했다.

‘프러포즈존’을 만들자는 아이디어는 홍준표 시장에게서 나왔다. 대구시는 신천 수변공원화사업을 추진하던 중 “남녀가 프러포즈를 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보라”는 홍 시장의 지시에 따라 관련 프로젝트를 완성한 것으로 파악됐다.

장재옥 대구시 맑은물하이웨이추진단장은 “현재 신천변은 주로 어르신이 많이 찾아서 (앞으로) 젊은 인구를 유입시키려고 사업 방향을 잡았던 것”이라면서 “프러포즈 외에도 시민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거리가 들어서게 된다”고 말했다.

장 단장은 프러포즈존의 실효성에 관해 “민간 용역사와 사전에 논의했고 충분히 가능성이 있겠다는 답을 얻었다”고 설명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신천 프러포즈’는 사랑하는 연인에게 사랑을 고백하고, 가족의 행복을 꿈꿀 수 있는 도심 속 수상공원을 설치할 것”이라면서 “특색있는 프러포즈 프로그램을 운영해 전국 선남선녀들의 프러포즈 명소로 만들 것이다”고 말했다.

지역 시민단체는 대구시의 사업 구상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장지혁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 운영위원장은 “(신천 프러포즈는) 시대착오적이고 전형적인 혈세 낭비성 사업”이라면서 “신천 주변에는 지금도 여가시설 등이 잘 갖춰져 있는 편인데 추가로 토목공사를 벌이는 건 필요성도, 효과도 기대하기 힘들다고 본다”고 말했다.

강금수 대구참여연대 사무처장은 “구체적인 사업 내용을 봐야겠지만 ‘프러포즈’를 위한 공간을 만드는 것치고는 상당한 예산이 들고 생뚱맞다는 생각이 든다”고 밝혔다. 그는 “삐까번쩍한 것보다 소박하고 간소한 것을 선호하는 요즘 젊은이들의 눈높이와도 맞지 않는 전시행정”이라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