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사건 3주년

해군 어떻게 달라졌나

2013.03.24 22:06

초계함 이상 함정에 어뢰음향대항체계… 구형 음탐기 교체는 무산

한국군은 천안함이 침몰한 3월26일을 ‘국군 치욕의 날’로 정하고 다양한 전력 증강 방안을 추진해왔다. 가장 먼저 서해를 담당하는 해군 2함대 소속 초계함 이상 함정에 어뢰음향대항체계(TACM)가 장착됐다. 어뢰음향대항체계는 고래소리와 잠수함 소리 등 온갖 수중 소음을 탐지해 적 잠수함과 잠수정을 식별할 수 있다. 또 기만기(어뢰유인체)를 투하해 아군 함정을 향해 오는 적 어뢰 방향을 돌릴 수도 있다.

지난 1월부터는 어뢰음향대항체계와 신형 소나(음탐기), 해상작전헬기 등을 갖춰 대잠 능력이 대폭 강화된 차기 호위함(2300t급)이 해군에 인도되기 시작했다. 기존 호위함(1500t급)과 초계함을 대체하는 차기 호위함은 2020년까지 20여척이 배치돼 해상 방어 임무를 수행한다. 또 유도탄고속함(440t급)도 최근까지 동·서해에 12척이 실전 배치됐다.

잠수함 킬러로 알려진 해상초계기 전력도 보강됐다. 기존 해상초계기인 P-3C에 비해 탐지 범위가 개선된 P-3CK 8대가 추가로 배치됐다. 국산 구조함(3500t)인 통영함도 지난해 9월 진수돼 시험평가가 진행 중이다. 통영함이 예정대로 올해 하반기 인도되면 해군의 해상사고 대응능력이 대폭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천안함과 같은 초계함에 장착된 구형 소나를 전면 교체키로 한 계획은 무산됐다. 노후 함정에 많은 예산을 들일 필요가 없다는 이유로 계획이 흐지부지됐다.

또 백령도 주변 40㎞를 포함해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따라 총 160㎞ 해저구간에 적 잠수함을 원거리에서 탐지할 수 있는 수중음향센서를 설치하는 작업도 예산 문제로 지연되고 있다.

천안함 사건의 근본적 원인이던 북방한계선 문제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오히려 지난해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여당이 북방한계선 문제를 정치쟁점화하면서 상황은 더 악화됐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