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력 피해 남성 군인 90%도 ‘쉬쉬’…“내부 고발 제도가 되레 내부 감시용”

2021.06.14 21:22 입력 2021.06.14 21:24 수정

한국심리학회지 논문 인터뷰한 10명 중 1명만 피해 사실 보고

생활관에서 가장 많이 발생…주변인들 방관으로 공론화 안 돼

“가해자가 혼나는 게 아니라 피해자에게 ‘왜 네가 말을 했느냐’고 하는 곳이 군대잖아요. 피해자랑 친하게 지내면 ‘너네 이제 집합시켜서 어떻게 한다’라고 선임도 간부도 그렇게 말해요. 군부대라 (성폭력 사건) 문제 같은 건 덮으려 하죠. 선임은 군 생활 며칠 더 하면 끝이고, 간부들은 커리어(경력)에 흠이 가는 거니까요.”

14일 ‘한국심리학회지’(2020년 2월호)에 실린 한양대 상담심리대학원 서동광 연구원의 ‘군대 내 성폭력 피해 병사들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논문을 보면 군 복무 중 성폭력 피해를 당한 남성 장병들도 피해 사실을 제대로 신고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논문에는 육해공군에서 성폭력 피해를 당한 23∼29세 남성 10명의 인터뷰가 담겨있다.

10명 중 9명은 선임에게, 1명은 간부에게 성폭력을 당했다. 이들 중 피해 사실을 상부에 보고한 사람은 1명뿐이다. 9명은 불이익에 대한 두려움으로 피해 사실을 숨겨야 했다고 했다. A씨는 “압박적인 환경이 있다. ‘그딴 것을 왜 말해서 문제를 크게 만들어’, 이런 주변의 지탄이 있어요. 중대장님, 소대장님, 행정보급관님 이런 사람들도 다를 바 없다”고 말했다.

성폭력이 가장 많이 발생한 장소는 장병 다수가 함께 지내는 생활관이다. 서 연구원은 “생활관은 타인에 의해 신고가 됐을 법한 장소임에도 사건이 공론화되지 못한 것은 주변인들도 방관자로 바라보고 있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며 “부대 내 잠재된 문제가 많을 수 있음을 예상케 한다”고 분석했다.

논문에 따르면 익명으로 사건을 신고하는 비상전화와 ‘마음의 편지’ 등 군 내부 고발 제도가 오히려 내부 감시용으로 악용된 적도 있었다. B씨는 “(성폭력) 피해자를 보다 못한 제3자가 마음의 편지를 통해 고발했는데, 그 사람을 행정보급관이 알았다”며 “결국 편지를 쓴 고발자가 털렸고, 흔히 그렇듯 (행정보급관의) 회유로 사건이 유야무야됐다”고 말했다.

논문은 “군대 내 성폭력은 나이, 지위, 계급 등 권력 위계에 따른 가학행위로 모습이 드러나고 있다”며 “피해자들의 대처가 쉽지 않은 만큼, (군 성폭력 사건을) 피해 병사 당사자의 문제로만 보는 사회적 분위기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