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참, 북한 탄도미사일 ‘공중 폭발’ 영상 공개…파편 내륙 낙하 가능성도

2024.06.28 14:41 입력 2024.06.28 14:56 수정

“발사 준비 징후부터 탐지해 감시”

“흔들리며 비행하다 좌우로 요동쳐”

“형체는 액체형, 화염은 고체형”

동영상 공개 안 한 점도 의문

민심 이반 차단 위해 기만전술 가능성

지난 26일 전방부대에서 운용하는 열상감시장비(TOD)에 포착된 북한의 탄도미사일 궤적. 합참 제공

지난 26일 전방부대에서 운용하는 열상감시장비(TOD)에 포착된 북한의 탄도미사일 궤적. 합참 제공

북한이 지난 26일 발사한 탄도미사일이 공중에서 폭발하는 장면을 군 당국이 28일 공개했다. ‘다탄두 시험’에 성공했다는 북한 주장에 반박하기 위해서다. 폭발한 미사일 파편이 내륙에 떨어졌을 가능성도 있어 북한이 내부 민심 이반을 차단하려는 ‘기만전술’을 쓴 것으로 군 당국은 추정했다.

“폭발 후 산산조각”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군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준비 징후를 사전에 탐지해 감시하고 있었다”라며 “미사일은 군의 대탄도탄 감시레이저와 지상 감시자산에 의해 탐지됐다”고 밝혔다. 합참은 이어 “이번에 발사한 미사일은 상승단계부터 비정상적인 비행 양상이 식별됐다”라며 “이런 비행 불안정성이 미사일의 폭발을 야기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했다.

합참은 전방부대에서 운영하는 열상감시장비(TOD)에 포착된 북한 미사일 폭발 장면을 공개했다. 북한이 지난 26일 발사한 탄도미사일 관련 기존 평가를 유지하면서, 그 증거를 제세한 것이다. 북한은 전날 한 번의 발사로 여러 표적을 공격할 수 있는 ‘다탄두’ 시험에 성공했다고 주장하면서 진위 논란이 일었다.

합참 관계자는 이날 “북한의 미사일은 초기 단계에서부터 비틀비틀 흔들리면서 비행을 하다가 좌우로 요동치며 빙글빙글 돌았다”라며 “정상적인 탄도미사일은 똑바로 날아가지 절대로 구불구불 날아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이후 불이 붙었고 폭발해 산산조각이 났다”고 했다.

지난 26일 전방부대에서 운용하는 열상감시장비(TOD)에 포착된 북한의 탄도미사일이 폭발하는 모습. 합참 제공

지난 26일 전방부대에서 운용하는 열상감시장비(TOD)에 포착된 북한의 탄도미사일이 폭발하는 모습. 합참 제공

북한이 공개한 사진을 보면, 형체는 액체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이지만 발사 때 분출된 화염은 고체형 연료에서 나타나는 형태를 띤 점에도 합참은 주목했다. 보통 액체형은 화염이 촛불 모양이지만, 고체형은 부채처럼 퍼지는 모습을 보인다. 합참 관계자는 “(북한이 공개한 사진은) 액체연료 추진 ICBM을 고체연료 추진 화염에 붙여 놓았다”라며 사진이 합성 등 조작됐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다만 “새로운 미사일을 만들기 위해 시도했을 가능성도 열어 놓고 분석 중”이라고 했다.

북한이 동영상을 공개하지 않고 사진 몇 장만 공개한 점도 조작 가능성을 뒷받침한다고 합참 관계자는 말했다. 북한이 다탄두 시험에 성공한 것이라면, 기존처럼 동영상과 여러 장의 사진을 대대적으로 공개했을 거란 뜻이다.

내륙 낙하에 민심 이반 차단 가능성

이에 따라 한·미는 북한의 전날 공개 보도는 ‘실패를 덮기 위한 기만·과장’이라고 평가했다고 합참은 밝혔다. 합참은 북한이 기만전술을 쓴 배경을 두고 “지난 5월 말 위성체 발사에 실패했고, 이번에 야심 차게 새로운 미사일을 쐈는데 또 터지면서 굉장히 곤혹스러울 거라고 본다”라고 말했다.

북한이 우리 군이 실패로 판단한 지난 26일 탄도미사일 발사가 다탄두 능력 확보를 위한 ‘성공적’ 시험이었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북한이 우리 군이 실패로 판단한 지난 26일 탄도미사일 발사가 다탄두 능력 확보를 위한 ‘성공적’ 시험이었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폭발로 인한 파편이 내륙에 떨어졌을 가능성도 있다고 봤다. 합참 관계자는 “내륙에 떨어졌다면 북한 주민들의 민심에도 작용할 수 있다”라며 “주민들에게 이해를 구하기 위해서 그런 행위(기만)를 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북한은 다탄두 시험에 성공했다는 내용을 대외매체인 조선중앙통신과 대내매체인 노동신문에도 실었다.

이번에 실패한 탄도미사일 발사가 다탄두 시험일 가능성도 일축했다. 합참 관계자는 “ICBM 운영에 가장 중요한 대기권 재진입과 다탄두 기술을 북한이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게 한·미의 공통된 평가”라며 “다탄두 시험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도 없어 (다탄두 시험 가능성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

합참은 북한이 이번에 발사한 미사일은 극초음속미사일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번 발사 장소가 기존에 극초음속미사일을 쐈던 곳인데다 관련한 다른 첩보 등을 종합해 이같은 판단을 내렸다고 한다. 북한의 극초음속미사일 개발은 초기 단계로 보고 있다. 합참은 다른 미사일일 가능성도 열어두고 세부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다만 합참 관계자는 “미사일이 발사 초기에 터졌기 때문에 상세한 분석을 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했다.

합참은 “향후 북한은 이번에 실패한 미사일의 재발사를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군은 후속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합참 관계자는 “(실패 원인을) 보완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조금 걸릴 것 같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