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단체들, 이동관 사퇴에 “언론통제 계속 이어가려는 정부 의지 보여줘” 비판

2023.12.01 17:13

국회의 탄핵안 처리를 앞두고 사퇴한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이 1일 정부과천청사 내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사퇴 기자회견을 위해 회견장으로 향하고 있다. 2023.12.01 성동훈 기자

국회의 탄핵안 처리를 앞두고 사퇴한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이 1일 정부과천청사 내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사퇴 기자회견을 위해 회견장으로 향하고 있다. 2023.12.01 성동훈 기자

언론단체들은 1일 국회 탄핵소추안 표결을 앞두고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이 사퇴한 데 대해 “어떻게든 언론 장악을 이어가겠다는 정부의 폭력적 의지를 보여준다”며 반발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은 이날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국회의 탄핵을 피해 방통위를 이용한 언론 장악과 표현의 자유 억압은 계속돼야 한다는 윤석열 정권 차원의 폭력적 의지를 재확인하는 대목”이라며 “윤 대통령은 애당초 반헌법·부도덕·반언론의 상징인 이동관을 방통위원장에 임명하면 안 됐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 위원장은 지난 98일간 공영방송 이사들을 불법 해임하고, 그 자리에 구시대 적폐 인사들을 임명해 공영방송을 ‘친윤 어용’ 방송으로 망쳤다. 정권 비판 보도를 ‘가짜뉴스’라고 부르며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획책하는 반헌법적 범죄를 저질렀다. 100일 채 안 되는 기간에 저지른 만행은 사퇴 줄행랑이 아니라 수사 대상이 돼야 한다”고 했다.

언론개혁시민연대도 이날 성명에서 “탄핵의 갈림길에 선 이 위원장이 그간의 행태에 대해 혹독한 평가를 받기보다 도망가는 걸 선택한 것이다. 끝까지 비겁했다”며 “그가 어떤 말을 하더라도 이 모든 일에 책임져야 한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위원장이) 방통위원장 자리에서 물러나는 건 당연한 일이지만, 안타까운 건 그가 반성하고 책임을 지기 위해 떠나는 게 아니라, 도망을 선택했다는 점”이라며 “이 위원장이 ‘내가 그만두더라도 제2, 제3의 이동관이 나온다’라고 말한 것은 윤석열 정부의 언론통제가 계속될 것이라는 이야기”라고 했다.

허찬행 언론인권센터 상임이사는 통화에서 “과거 행적에 비춰볼 때 이 위원장이 임명되자마자 공영방송을 장악해 내년 총선을 앞두고 유리한 여론지형을 만들려고 한 것은 모두가 예상했던 일”이라면서 “결국 탄핵안이 통과되면 최장 180일까지 발이 묶이니 자진 사퇴의 형식을 취한 것일 뿐 언제든 ‘제2의 이동관’이 등장할 수 있다”고 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