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정상회의···경제 협력 확대 한 목소리, 북한 문제는 온도차

2024.05.27 12:30 입력 2024.05.27 13:34 수정

한·중·일 정상이 27일 3국의 경제 협력, 교류 확대를 한 목소리로 강조했다. 북한 문제를 두고는 3국 정상의 미묘한 온도차가 드러났다. 한·일은 대북 대응 강조에 발언을 할애했지만, 중국은 모두 발언에선 구체적으로 북한을 언급하지 않았다. 중국이 보호무역주의 반대를 천명한 것도 한·미·일 경제 공조에 대한 불편한 심경을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한일중 정상회담이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한일중 정상회담이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총리,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는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3국 정상회의를 했다. 3국 정상이 모인 건 4년5개월 만이다.

3국 정상은 모두 협력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모두 발언을 통해 “우리는 3국 협력의 새로운 기회를 열었다”며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역내와 글로벌 차원의 여러 도전 역시 3국 간의 소통을 촉진하고 협력의 지평을 확장하는 새로운 기회로 전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시다 총리는 “우리는 지역과 국제사회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형태로 3국 협력을 확대해 국제사회를 분단과 대립이 아닌 협조로 이끌기 위해 서로의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리 총리도 “코로나19 등 다중 요인으로 정체됐던 3국 협력이 이제 겨우 정상 궤도로 복귀한 만큼 이를 배로 간직해야 한다”며 “상호 존중과 신뢰를 견지하여 협력 정책의 안정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북 대응을 두고는 입장차가 감지된다. 한·일 정상은 모두 북한 도발에 대한 3국의 공동 대응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북한의 위성 발사 예고를 언급한 뒤 “탄도미사일 기술을 사용한 모든 발사는 유엔 안보리 결의를 정면으로 위반하며 지역 및 세계 평화와 안정을 해치는 것”이라며 “북한이 국제사회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발사를 감행할 경우 국제사회는 이에 대해 단호히 대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기시다 총리도 북한의 인공위성 발사를 거론하며 “발사를 감행한다면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며 “북한에 대해 강력히 그 중지를 요구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오늘은 북한 정세를 비롯한 국제 정세와 국제 경제 질서 강화 등에 관해서도 3국 간의 의사소통을 강화하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며 “두 분 정상과의 논의를 기대하겠다”고 말했다.

리 총리 북한을 언급하진 않았다. 대신에 미·중 갈등, 한·미·일 공조를 겨냥한 듯한 뼈있는 말도 했다. 리 총리는 “3국은 솔직한 대화로 의심과 오해를 풀고 세계 다극화를 추진하고 집단화와 진영화를 반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리 총리는 또 “경제 글로벌화와 자유무역을 수호하여 경제·무역 문제, 범정치화, 범안보화를 반대해서 무역보호주의와 디커플링을 반대해야 한다”고도 말했다. 우회적으로 미국을 비판하는 발언을 내놓은 것으로 해석된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