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이재명 “내 임기 관련 당헌 개정은 하지 말자”

2024.06.07 15:10 입력 2024.06.07 15:42 수정

7일 비공개 최고위에서 제안

당원권 강화 논의 추진력 유지 의지

원조 친명 등 측근 비판도 영향 준 듯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7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박민규 선임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7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박민규 선임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7일 당헌·당규 개정 논란과 관련해 “내 임기와 관련한 당헌 개정은 하지 말자”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민주당 당헌·당규 태스크포스(TF)는 당대표와 최고위원이 대선에 출마하고자 할 경우 선거일 1년 전에 사퇴하도록 한 기존 규정에 예외를 두는 내용의 개정안을 마련한 바 있다. 자신의 임기 문제로 현재 진행 중인 당원권 강화 논의가 추진력을 잃어선 안 된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복수의 당 관계자의 말을 종합하면 이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대표 임기와 관련한 당헌 개정은 추진하지 말자고 밝혔다. 당헌·당규 TF는 지난달 30일 22대 국회 첫 의원총회에서 당 대표와 최고위원이 대선이 출마하고자 할 시 선거일 1년 전에 사퇴하도록 한 기존 규정을 유지하는 대신 전국단위 선거 일정 등 ‘상당한 사유’가 있을 때 당무위원회 의결로 사퇴시한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당헌 개정 시안을 발표했다.

이에 이 대표의 연임과 대선 출마를 염두에 둔 조처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2026년 지방선거 공천까지 연임하는 이 대표가 마무리한 후 대선에 나설 수 있도록 하려는 의도라는 것이다.

특히 원조 친이재명(친명) 인사로 꼽히는 ‘7인회’ 출신 김영진 의원은 전날 경향신문 인터뷰에서 “사실상 이 대표 임기 연장을 얘기하는 것”이라며 “대표 임기를 더 단축해 내년 12월 이 대표가 사퇴하고, 새 대표가 지방선거를 6개월 전부터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이 대표의 이날 발언은 이런 비판을 의식한 것으로 해석된다. 나아가 당원권 강화 논의에 집중해야 할 시기에 자신의 임기 문제가 불거지자 이를 진화하기 위한 행보라는 평가도 나온다. 당 핵심 관계자는 “이 대표가 자신의 임기 문제는 당원 민주주의와 직접 관련이 없는 사안이라고 판단했다”며 “지금은 당원권 강화에 힘을 쏟아야 할 때라는 의지를 표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정청래 최고위원 등이 이 대표 제안에 반대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지는 등 최종 결론은 지켜봐야 한다. 황정아 대변인은 이날 회의 종료 후 기자들과 만나 “전반적으로 당원 중심의 대중정당으로 가야 한다는 점엔 공감대가 형성됐다”면서도 “방향이나 시기에 관련해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된 상황”이라고 밝혔다.

국회의장 후보와 원내대표 경선에 당원 투표 20%를 반영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이견이 노출된 만큼 이 부분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 한 지도부 의원은 통화에서 “10%에서 20% 사이로 조정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이 대표의 여론 청취 일정이 종료되는 대로 이르면 다음 주 당무위를 열어 당헌 개정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