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총리 전임 ‘낙마’ 부담 고르고 골라 ‘낙점’

2006.09.01 18:26

김신일 서울대 명예교수로 낙점된 교육부총리 인선은 막판까지 진통을 거듭했다. 김병준 전 부총리 ‘중도 낙마’ 이후 한껏 높아진 도덕성 기준 때문이다. 35명의 방대한 풀을 대상으로 검증작업에 돌입했지만, 잇단 고사와 흠결에 부딪쳤다고 한다.

‘서울대 교육학과 교수’라는 교육계 정통파 인사의 기용은 이번 인사의 성격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노무현 대통령의 임기말을 책임질 교육부총리라는 점에서 새로운 ‘개혁작업’보다는 안정적 ‘관리’에 무게가 놓였다는 해석이다. 당초 3배수로 압축된 후보가 모두 ‘학자’ 출신인 것은 그런 이유다.

“평생학습에 상당한 조예를 가진 전문가”라는 박남춘 인사수석의 평가처럼 일찌감치 교육사회학과 평생교육 문제에 관심을 갖고 연구해온 김교수의 독특한 이력이 평가된 것으로 보인다. 지역사회 공동체를 통한 교육, 수요에 맞는 맞춤형 대학교육 개혁 등 참여정부의 정책방향과 김교수의 영역이 맞아떨어진 셈이다. 김교수의 경우 서울대 교육학과 내에서 상대적으로 진보적인 것으로 평가되는 인사다.

하지만 김교수도 이날 오전까지 내정을 확정하지 못할 만큼 난산을 겪었다. 후보군 중 비교적 뒤늦게 부상한 탓에 방대한 논문검증 작업에 대한 부담 때문이었다.

실제 민정수석실은 김내정자의 200여편 등 최종 후보 3명의 논문 700여편을 검증했다는 전언이다. 인터넷상의 논문 목록을 발굴,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에 검증을 의뢰하고 각종 학술지·기관지와 일일이 대조하는 작업도 거쳤다. 박수석은 “한두편도 아니고, 해서 완벽하다 할 수는 없지만 나름대로 심혈을 기울인 것으로 알고 있다. 국회에 가서 논문 시비가 붙지 않겠느냐는 신만이 알 것”이라고 말했다.

때문인지 한달여 인선과정에서 상당수 학자들이 고사했다는 후문이다. 인사추천회의 멤버인 한 고위관계자는 “김병준 전 부총리 낙마 당시 기준을 들여대니 배겨낼 사람이 없더라”라고 토로했다.

한때 유력 후보였던 김인세 부산대 총장은 고사의지가 완고했다. 발표 하루전인 31일 밤에도 부산대 보직교수, 본부 직원들과 함께 통음을 하면서 “절대 (부총리 자리에) 가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고 한다. 김총장은 남은 총장 임기동안 부산대 발전과 개혁작업에 몰두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고 한다.

3배수 후보로 검토된 조규향 한국방송통신대 총장은 이날(1일) 아침 당초 예정된 브라질 출장길에 나서 최종 후보에서는 탈락한 사실이 감지됐다.

〈김광호기자〉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