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3분의1, 4년뒤 정원 70%도 못 채워···폐교 대비해야”

2020.07.26 13:40 입력 2020.07.26 13:58 수정

4년 뒤엔 지방 대학 3곳 중 1곳은 신입생 정원의 70%도 채우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6일 대학교육연구소가 발간한 ‘대학 위기 극복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 방안’ 보고서를 보면, 2024년엔 서울·인천·경기 외 지역의 지방 대학 220곳 중 학부 신입생 정원의 70%를 못 채우는 학교가 85곳(34.1%)에 달하고, 절반도 채우지 못하는 학교는 26곳(11.8%)가 될 것으로 예측됐다. 신입생 충원율을 95% 이상 달성하는 학교는 단 한 곳도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경향은 점차 심해져 2037년에 이르면 신입생 정원의 70%를 채우지 못하는 지방대가 10곳 중 8곳 이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를 위해 대학교육연구소는 통계청의 지난해 3월 장래인구추계, 교육통계연보 등을 활용해 전국 17개 시·도별 고교 졸업자 수와 증감률을 산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별 입학인원 감소지수’를 설정했다. 이 지수를 지난해 대학별 정원 내 입학자 수에 반영해 입학자 수를 추정했다.

출대학교육연구소 ‘대학 위기 극복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 방안’ 보고서

출대학교육연구소 ‘대학 위기 극복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 방안’ 보고서

보고서는 지방대학 위기의 가장 큰 원인으로 학령인구 감소를 꼽았다. 올해 약 51만명인 학령인구(만 18세 인구 전체)는 2024년 43만명으로 감소한다. 학령인구 중 대학에 진학할 의사가 있는 ‘입학가능인원’만을 따진다면 올해 약 45만7000명에서 20204년 38만4000명으로 16.1% 줄어든다.

여기에 더해 청년들이 이탈하는 지역일수록 학령인구 감소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다. 청년층 순유출률이 가장 높은 광주·전북·전남은 4년 뒤 입학생 예상 감소율도 22.4%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강원도가 각각 20.7%, 20.3%, 22.3%로 뒤를 이었다. 반면 청년층이 순유입된 서울, 경기, 대전, 충남의 예상 감소율은 대전·충북·충남 13.7%, 수도권 11.8% 등으로 비교적 낮았다.

임은희 연구원은 “신입생 감소 규모가 워낙 커 폐교 문제가 대두될 것”이라며 “대학을 전수조사해 부실 운영 우려가 있는 학교를 파악하고, 폐교 대상 학교 재학생의 학습권을 보호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밖에도 연구진은 수도권 포함 전체 대학 정원 10% 감축, 국가에서 예산 운영을 맡는 ‘정부책임형 사립대학 제도’ 도입, 지방 국립대 집중 투자 등을 지방대학 육성 방안으로 제시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