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 고어 “전 세계 본보기 한국, 탄소중립 더 적극적으로”…‘기후위기 해결사들’ 한목소리

2021.06.23 16:19 입력 2021.06.23 21:04 수정

<2021 경향포럼>이 ‘기후위기의 시대 - 생존가능한 지구로 가는 길’이라는 주제로 23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렸다.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무대 가운데·오른쪽 화면)의 진행으로 앨 고어 전 미국 부통령(왼쪽 화면)과 미래학자 제러미 리프킨(가운데 화면)이 대담하고 있다. 권도현 기자

<2021 경향포럼>이 ‘기후위기의 시대 - 생존가능한 지구로 가는 길’이라는 주제로 23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렸다.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무대 가운데·오른쪽 화면)의 진행으로 앨 고어 전 미국 부통령(왼쪽 화면)과 미래학자 제러미 리프킨(가운데 화면)이 대담하고 있다. 권도현 기자

기후변화의 위험을 세계에 알린 공로로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앨 고어 전 미국 부통령 등 국내외 기후·환경 전문가들은 한국이 탄소배출 감축 등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모았다.

‘기후 위기의 시대 - 생존 가능한 지구로 가는 길’을 주제로 23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1 경향포럼>에서 기조강연자로 나선 고어 전 부통령은 “부유국들이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대가로 개발도상국을 돕고, 탈탄소를 도울 필요가 있다”며 “실제로 세계 지도자들이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고, 한국도 매우 중요한 리더십을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전 세계 많은 국가들이 한국을 본보기로 보고 있다. 한국을 비롯해 많은 국가들이 탈탄소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어 전 부통령은 재생에너지 기술 개발 등으로 새로운 시대가 열릴 매우 중요한 시기이지만,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현재 속도는 너무 느리다며 급격한 변화를 촉구했다. 그는 “이제 드디어 영속적인 변화의 시작이 눈앞에 왔다. 사실 오랫동안 기후 관련 대응은 정부가 하는 일이라 생각해 민간은 손놓고 있었는데, 경향이 바뀌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경각심을 가지고 소비자들이 변화를 원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정부와 민간 모두가 기존 방식대로 운영한다면 치명적인 실수가 될 것”이라며 “위기를 해결할 방법은 이미 가지고 있다. 미래 역사학자들이 인류 문명에서 가장 큰 전환점이었다고 말할 수 있게 공공과 민간, 열정적인 많은 지도자들이 영감받아 미래를 바꿔야 한다”고 덧붙였다.

세계적인 미래학자 제러미 리프킨은 인터넷·재생에너지·플랫폼 분야에 강점을 가진 한국을 높이 평가하며 한국의 선도적 움직임을 요구했다. 리프킨은 “여러분들은 한국전쟁 이후 기적처럼 성장해 상위 10대 경제 강국으로 변모했다”며 “공동체 의식이 있기 때문에 세계적인 기업이 있다. 한국은 스마트 혁명 이끌 챔피언으로, 한국이 앞서면 전 세계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첫번째 기조강연으로 이날 포럼의 문을 연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은 온실가스 배출 감축, 탄소중립 실현에 한국 정부가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반 전 총장은 탄소 배출량 수준이 세계 7위인 사실을 거론하며 “나쁜 의미에서 우리나라는 이미 주요 7개국(G7)이다. 이런 G7은 벗어나는 게 좋을 것”이라며 “한국이 ‘2050 탄소중립’ 공약을 충실하게 이행하지 못할 경우 반드시 미래가 밝다고는 할 수 없다. 모든 정책의 우선순위를 기후위기를 해소하는 데 둬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와 국회 측 참석자들은 축전·축사를 통해 기후위기 해결의 의지를 강하게 나타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축전을 통해 “‘탄소중립’은 어려운 목표이지만 반드시 가야 할 길이며, 혁신적인 기술과 산업,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 낼 기회”라고 밝혔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축사에서 “기후위기는 우리 기업들이 가장 잘 알고 대응하고 있다”며 탄소중립에 필요한 제도 마련 등 의지를 강조했다.

박병석 국회의장은 “재난이 사회적 약자에게 가장 먼저, 가장 고통스럽게 다가오듯 기후위기는 결코 평등하지 않다”며 “국회도 10~20년을 내다보고 국회 차원에서 안정적인 대책을 세우기 위해 노력하겠다. 여야가 함께 합의하고 채택했던 ‘기후위기 비상대응 촉구 결의안’을 이제 실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코로나19 거리두기 방침에 따라 현장 참석 인원을 최소화해 진행된 이날 포럼에는 온라인 참가자 500여명(최다 동시접속 320명)을 포함해 약 600명이 참석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