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바이러스, 우한 연구소서 유래 첩보”…중국에 보복 검토…G2 ‘코로나 전면전’ 우려

2020.05.01 21:29 입력 2020.05.01 21:43 수정

주권 면책 제한·추가 관세 만지작

중 “미국, 오명화 중단하라” 반발

트럼프 “바이러스, 우한 연구소서 유래 첩보”…중국에 보복 검토…G2 ‘코로나 전면전’ 우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중국 후베이성(湖北省) 우한(武漢)의 바이러스 연구소에서 유래했다는 신빙성 있는 첩보를 봤다고 말했다. 미국 언론은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대한 보복 조치를 심도 있게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미국의 공세에 중국이 적극 반박하면서 미·중의 패권경쟁이 코로나19를 매개로 ‘전면전’으로 확전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한 행사 후 ‘바이러스가 우한의 연구소에서 유래했다는 첩보를 봤느냐’는 취재진 질문을 받고 “그렇다”고 했다. “말할 수 없다. 말하는 게 허용되지 않는다”고도 했다. ‘음모론’으로 치부되던 코로나19 바이러스 우한 연구소 유래설을 뒷받침할 증거를 잡았다는 취지로 밝힌 것이다.

미국 국가정보국(DNI)은 이날 성명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위적으로 만든 것은 아니라는 데 동의한다면서도 “발병이 감염된 동물과의 접촉을 통해 시작됐는지, 또는 우한에 있는 한 연구소 사고의 결과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새로운 정보를 엄격하게 계속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워싱턴포스트와 CNN은 트럼프 행정부가 보복 조치를 심도 있게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한 ‘주권 면책’ 제한 방안을 최근 보좌진과 논의했다. 주권 면책은 ‘주권국가는 다른 나라 피고가 될 수 없다’는 국제법 원칙으로, 이를 제한할 경우 미국 정부 또는 개인이 중국을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할 길이 트인다. 중국에 대한 채무 일부를 무효로 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은 추가 관세 카드를 검토 중이라고 했다. 신중론을 펴는 참모들도 있지만 강경론이 힘을 얻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는 전했다.

트럼프 행정부 초대 유엔 주재 미국대사를 지낸 니키 헤일리는 전날 워싱턴포스트 기고문에서 “바이러스는 중국이 가하는 위협들 중 단지 작은 부분일 뿐”이라며 “냉전시대 소련을 훨씬 능가하는 경제력을 가진 팽창주의자이자 공산주의자인 중국과 맞서고 있다. 자유 국가들은 단결해야 한다”고 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 때리기는 11월 대선 전략과 직결된다. 코로나19 책임론을 외부로 돌리려 한다는 것이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1일 “미국은 중국에 대한 오명(汚名)화를 중단하라”면서 “일부 미국 정치인들이 바이러스를 정치 무기로 사용하도록 놔두면, 전 세계가 겪는 피해와 고통을 헤아리기 어려울 것이며 인류 역사에 암울한 한 페이지를 쓰게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강대국 미국과 중국의 충돌이 격화될수록 세계 정세는 흔들릴 수밖에 없고, 한반도 정세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CNN은 “장기적으로 미·중 갈등 심화는 그들의 뒷마당에 있는 거인의 반감을 사지 않고 싶어 하는 아시아의 미국 동맹국들에 불편한 선택을 강요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