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과이 대선, ‘친대만’이 친중국 이겼다

2023.05.01 21:42 입력 2023.05.01 22:52 수정

중남미 ‘핑크 타이드’ 강세 속 우파 집권당 후보 압승

‘온두라스 이어 또 수교국 잃을라’ 초조했던 대만 ‘안도’

파라과이 대선에서 승리한 산티아고 페냐 후보가 아순시온의 콜로라도 당사에서 환호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파라과이 대선에서 승리한 산티아고 페냐 후보가 아순시온의 콜로라도 당사에서 환호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중국과 대만의 대리전 양상을 띠며 국제사회의 관심을 모은 파라과이 대선에서 ‘친대만’ 성향인 산티아고 페냐 집권당 후보가 승리했다. 금전 외교를 앞세운 중국에 몇 안 되는 수교국을 차례로 뺏겨온 대만은 파라과이를 지키는 데 성공하며 한숨 돌리게 됐다.

30일(현지시간) 중남미 매체 인포바에 등에 따르면 집권당인 우파 콜로라도당 소속 페냐 후보가 42.7%의 득표율로 중도좌파 에프라인 알레그레 후보(27.4%)를 제치고 대통령에 당선됐다. 페냐 후보는 당선 후 “오늘 우리는 개인적 승리를 축하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평화, 대화, 우애, 국가적 화해의 길을 선택한 사람들의 승리를 축하하는 것”이라며 “모두가 원하는 파라과이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페냐 후보가 속한 콜로라도당은 1947년 이후 딱 4년(2008∼2012년)을 제외하면 70여년 동안 여당 지위를 잃은 적이 없다. 그러나 최근 들어 파라과이에서는 경기 둔화와 높은 범죄율 등으로 정권교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는 상황이었다.

게다가 2013~2018년 집권했던 콜로라도당 소속 오라시오 카르테스 전 대통령의 중대 부패 범죄 스캔들까지 터졌다. 페냐 후보는 카르테스 정부의 재무장관 출신으로, 카르테스 전 대통령의 전폭적 지지로 정치적 입지를 넓혀온 만큼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었다.

이 때문에 선거 전 여론조사에서는 야당 알레그레 후보가 근소한 차이로 페냐 후보를 앞서기도 했다. 이번 대선을 통해 콜로라도당의 70년 장기 집권 시대가 막을 내릴 가능성이 높다는 예측이 나왔다. 그러나 실제 뚜껑을 열어보니 이번에도 콜로라도당의 승리였다. 개표 초반부터 페냐 후보는 알레그레 후보를 크게 앞서며 여유롭게 당선됐다.

특히 이번 선거의 최대 관심사는 중국과 대만 문제였다. 여야 유력 대선 후보인 페냐와 알레그레는 대만과 중국 중 어느 쪽을 선택할지를 놓고 극명한 시각차를 드러냈다. 친중 성향인 알레그레 후보는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에 파라과이의 대표적 수출품인 대두와 소고기가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미국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페냐 후보는 미국 및 대만이라는 전통적 우방을 잃어서는 안 된다는 외교 철학을 드러내왔다 그는 지난 1월 CNN 인터뷰에선 미국·이스라엘·대만을 ‘파라과이 발전을 위한, 중요한 삼각 구도’로 설명하기도 했다.

페냐 후보가 승리하자 대만은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최근 온두라스가 대만과 관계를 끊고 중국과 수교한 상황에서 파라과이까지 잃으면 대만의 국제적 입지는 좁아질 수밖에 없었다. 대만 외교부는 “민주주의와 자유라는 공동의 가치와 전통적 우정을 바탕으로 파라과이 새 정부와 협력, 교류를 더욱 심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중남미에 거세게 불고 있는 ‘핑크 타이드’ 속에서 파라과이의 70년 우파 정권이 명맥을 유지할 수 있을지도 이번 선거의 관심사였다. 멕시코, 페루, 칠레,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볼리비아, 온두라스 등은 물론 파라과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에도 좌파 정권이 들어선 상황이다. 하지만 페냐 후보의 당선으로 우파 콜로라도당은 이번에도 굳건한 지배력을 입증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