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영국 대사관 습격’ 이란 제재 논의

2011.12.01 22:28 입력 2011.12.02 03:10 수정

시위대 체포 하루 만에 석방

이란 주재 영국 대사관 습격사건의 배후로 이란 당국이 지목되면서 유럽이 대이란 압박수위를 높이고 있다. 유럽연합(EU) 27개국 외무장관들은 1일 브뤼셀 회의에서 대이란 외교적 제재를 논의하면서 영국과 독일이 제안한 대이란 금융제재 방침을 검토했다. AFP통신은 이번 회의에서 이란의 일부 자산에 대한 동결조치와 함께 이란 기업 143곳과 개인 37명에 대한 여행금지조치가 합의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란산 원유수출에 대한 제재도 거론됐지만 각국의 견해가 엇갈려 성사되지 않을 것으로 AFP는 현지 외교관들의 말을 인용해 전했다. 독일은 이란에 대한 원유제재를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영국을 비롯해 이란산 원유에 의존도가 높은 그리스·스페인 등은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윌리엄 헤이그 영국 외무장관은 이날 회의에 앞서 이란을 강력하게 비난하며 각국의 제재 동참을 촉구했다. 그는 “이란에서 벌어지는 일과 시리아 사태 간에는 관련이 있다”면서 이란이 3500명 이상이 숨진 시리아의 민주화시위 유혈진압도 지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헤이그 장관은 지난달 30일 시위대가 난입한 테헤란 주재 대사관을 폐쇄하고 영국 주재 이란 외교관 전원에게 48시간 내에 영국을 떠나라는 추방명령을 내렸다. 이란의 가장 큰 무역상대국인 독일과 프랑스·이탈리아·네덜란드 등도 테헤란 주재 자국 대사를 불러들였다. 이란산 원유의 3대 수입국이자 이란의 우라늄농축 프로그램을 놓고 미국과 이란의 중재자 역할을 해온 유럽연합의 이 같은 조치는 이란의 고립을 심화시키게 된다.

한편 테헤란 주재 영국 대사관에 난입했다 체포된 이란 학생 시위대 11명이 체포된 지 하루 만인 30일 석방됐다고 반관영 파르스 뉴스통신이 1일 전했다. 이들이 석방된 이유와 경위는 전해지지 않았다. 이란 현행법상 기물파손은 최대 징역 3년형에 처해질 수 있으나, 이들은 체포 하루 만에 풀려나 이란 당국이 시위대를 비호하고 있다는 의혹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