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사건 두 해석 ‘역사의 평행선’ 달리는 중·일

2010.02.01 18:00 입력 2010.02.02 00:19 수정

첫 ‘공동연구보고서’ 시각차 못좁혀

중국과 일본이 처음으로 공동역사연구 보고서를 냈지만 인식의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특히 근·현대사의 주요 사건을 둘러싸고 이견이 두드러졌으며 2차대전 이후 현대사는 국내 영향을 우려한 중국의 요청에 따라 공표되지 않았다. 향후 2기 연구팀이 발족해 공동작업을 계속할 예정이지만 접점을 찾기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양국 전문가가 참여한 ‘중·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는 549쪽으로 이뤄진 공동연구 보고서를 지난달 31일 공표했다. 보고서는 총론과 ‘고대·중근세’, ‘근현대사’ 등 2개 각론으로 구성됐다. 같은 주제에 대해 중국과 일본 측 위원이 각각 집필한 논문을 함께 실었다.

한 사건 두 해석 ‘역사의 평행선’ 달리는 중·일

가장 큰 견해차를 드러낸 것은 난징(南京)대학살(1937년)과 관련된 부분이다. 일본도 이 사건에 대해 “일본군에 의한 집단적, 개별적 학살사건이 발생해 강간·약탈과 방화가 빈발했다”며 인정했지만 희생자 수에서는 큰 차이를 보였다. 중국이 “30만명 이상”이라고 한 반면 일본은 “최고 20만명으로 2만명, 4만명이란 추계도 있다”고 주장했다.

만주사변(1931년)에 대해서는 중국이 “침략”이라고 단정했지만 일본은 “관동군의 모략이었으며 당시 일본 정부도 이를 추인할 수밖에 없었다”고 언급했다.

중일전쟁(1937년)과 관련, “전쟁 중 일본의 행위가 중국에 커다란 상처를 남겼다”는 인식에는 일치했다. 하지만 “전쟁이 일어난 원인은 일본 측에 있지만 우발적이다”(일본)라는 주장과 “전면적인 침략전쟁”(중국)이란 견해가 엇갈렸다.

중일전쟁의 단초를 제공한 루거우차오사건에 대해 중국은 “우발성이 있을지도 모르지만 역사의 추이에서 보면 필연성도 띠고 있다”며 일본의 침략 계획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일본은 “분쟁 해결에 노력했지만 관동군 등이 강행했다”는 인식을 나타냈다.

일본은 군위안부 문제와 특수부대 731부대에 대해서는 언급을 피했다. 그러나 중국은 “일본군은 위안소를 설치, 강제적으로 많은 여성을 성노예로 삼았다” “인체실험, 생체해부를 실시했다”고 기술했다.

문화대혁명(66~76년)과 톈안먼(天安門)사건(89년) 등이 포함된 ‘전후사’는 현 정권에 대한 비판 등 국내 여론의 영향을 우려한 중국의 요청으로 보고서에는 포함시키지 않았다.

중·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는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 참배로 중·일관계가 악화하자 역사인식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출범했다. 2006년 10월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정상회담에서 공동역사연구에 합의했다. 그해 12월 양국의 전문가가 각각 10명씩 참여하는 연구위원회를 구성했다.

연구회는 위원을 교체한 뒤 제2기 연구에 착수한다는 방침이지만 구체적인 시기와 방법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연구회의 일본 측 좌장인 기타오카 신이치 도쿄대 교수는 “일·중 간 역사인식에 커다란 차이가 있지만 양국 연구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논의하고 각각의 견해를 서로 발표할 수 있었던 것은 성과”라고 평가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