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제일 막말가이자 '늑대전사 언론인', 후시진

2021.12.15 16:03

지난달 2일 중국의 테니스 스타 펑솨이(彭師)는 웨이보에 장가오리(張高麗) 전 부총리에게 성폭행을 당했다고 폭로하는 긴 글을 올렸다. 이 글은 약 20분 만에 삭제됐고, 펑솨이는 이후 지금까지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내고 있지 않다. 펑솨이의 신변 안전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면서 중국의 인권 문제가 다시 도마에 올랐다. 그러자 중국을 대변하기 위해 한 사람이 나섰다. 바로 중국이 세계와 말싸움을 할 때 빠지지 않는 인물, 후시진(胡錫進·61) 환구시보 총편집인이다.

후시진 환구시보 총편집인. | 트위터 갈무리

후시진 환구시보 총편집인. | 트위터 갈무리

그는 지난달 19일 트위터에 “정보통을 통해 펑솨이가 건강하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글과 함께 펑솨이가 식당에서 사인을 해주는 영상을 올렸다. 중국 정부에 의해 펑솨이의 안부가 조작된 게 아니냔 논란이 일자 후시진은 “중국에 한해서 서방 언론은 보고 싶은 것만 본다. (영상 속) 여성이 가짜 펑솨이라고 말하지 않는 게 놀랍다”고 쏘아붙였다.

성폭력 고발에 대한 검열을 정치적 이념과 반중 정서에 관한 이야기로 돌려버리는 후시진의 화법은 매우 익숙해 보인다. 자국의 이익에 반하는 논란거리는 묵살하고 이를 지적하는 이들에게 날을 세우는 중국의 모습과 겹치기 때문이다. 중국에 맞서는 이들을 모욕하며 도발하는 ‘늑대전사’(중국 애국주의 영화 <전랑>에서 따온 표현)들이 등장한 것은 최근이지만 후시진은 10여년 전부터 그 일을 해왔다. 늑대전사들의 시초이자 영감의 원천인 셈이다.

후시진은 상대를 가리지 않고 강도 높은 독설을 쏟아내는 것으로 유명하다. 외신들이 그를 ‘공산당의 입’이라 칭하며 주목하는 이유다. 그는 영국이 남중국해에서 중국의 주권을 침해한다며 “매를 버는 계집애”처럼 취급할 것이라 경고했다. 코로나19의 기원에 대한 조사를 요구한 호주를 “중국이란 신발 바닥에 붙은 껌”에 비유하기도 했다. 그는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사드) 갈등 때인 2017년 9월에는 한국을 향해 “김치만 먹어서 멍청해진 것이냐” 막말을 쏟아냈다. 지난 13일엔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한 국가들을 겨냥해 “취객들이나 먹을만한 닭발처럼 베이징 올림픽 보이콧 논란도 절박한 이들이나 물어뜯을만한 사소한 일”이라며 공격했다.

극단적인 애국주의 발언으로 유명한 그는 중국에서 “언론의 자유를 가진 유일한 사람”이라 불리기도 한다. 대부분 중국인들은 만리방화벽으로 해외 사이트 이용이 제한된 데 반해 그는 트위터에서 45만명의 팔로워를 거느리며 활발히 활동 중이다. 그가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집권 초기부터 추구해 온 ‘프로파간다’ 전략을 그대로 구사해왔기 때문이다.

시 주석이 집권하기 전 2000년대 중국에선 제한적으로나마 인터넷에서 대중 담론이 형성될 수 있었다. 관영매체 인민일보의 2010년도 보고서에 따르면 웨이보 등 온라인 커뮤니티는 “시민들이 정치에 참여하고 토론할 수 있는 좋은 도구”라고 언급될 정도였다. 하지만 2012년 시 주석의 부상과 함께 대중의 인터넷 사용은 극도로 제한되기 시작했다. 시 주석은 전국의 선전 관계자들을 소집해 “중국 이야기를 잘 전달하라”고 촉구했고 후시진은 이 지시를 발빠르게 이행했다. 중국의 업적은 칭찬하면서 당국이 공개적으로 입장을 드러내기 어려운 외교 사안에 대해선 상대국을 마음껏 비난하기 시작한 것이다.

후시진이 중국 공산당의 ‘나팔수’를 일찍이 자처한 데는 서양 언론에 대한 그의 질투심과 열등감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가디언은 해석했다. 후시진은 1960년에 가난한 기독교 가정에서 태어나 18세에 인민해방군에 입대했다. 이후 난징에 있는 외국어대학에 진학해 러시아어를 전공했다. 1989년엔 톈안먼 광장에서 열린 시위에도 참가했다고 후시진 본인이 한 언론 인터뷰에서 밝혔다.

톈안먼 시위가 진압된 후 그는 관영매체인 인민일보에 입사했고, 1993년엔 환구시보라는 주간지를 창간하며 수익 창출에 나섰다. 후시진은 자서전에서 보스니아 전쟁 취재를 위해 해외로 파견을 나갔다가 “나는 왜 센세이션을 일으키는 사람이 될 수 없는가. 중국 기자는 왜 각광을 못 받는가”라는 생각에 사로잡혔다고 한다. 그는 “개인적인 차원에서만이 아니라 중국인이란 이유로 무시받는 것을 참을 수 없었다”고도 썼다. 이후 베이징으로 돌아온 그는 국제부에서 일하면서 국제 뉴스를 중국과 엮어내기 시작했다.

국제 이슈를 중국과 연관짓자는 그의 전략은 성공적이었다. 1999년 5월7일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의 폭탄이 세르비아에 있는 중국 대사관을 강타하면서 중국 기자 세 명이 사망했다. 미국 측은 사고라고 말했지만 중국인들은 고의적인 공격이라 여겼다. 환구시보는 해당 사건을 테러로 규정짓는 기사를 내면서 독자들의 반미 정서를 북돋웠다. 그 후 외교장관과 해외선전실장 등 공산당 엘리트들은 환구시보의 애독자임을 밝혔고 환구시보의 인기는 고공행진했다. 국수주의가 곧 돈이 된다는 후시진의 논리가 현실에서 이뤄지는 순간이었다.

후시진은 2005년 환구시보 총편집인으로 취임하면서 직원들을 늘리고, 주6일 중문판과 영문판을 발행하며 지금까지 공산당의 비공식 대변인 노릇을 꾸준히 해왔다. 환구시보는 중국 인기 소셜미디어 위챗에서 가장 많이 읽히는 언론사이며 후시진은 그 언론에 영혼을 불어넣는 장본인이다.

홍콩 성도일보는 조만간 60세를 넘긴 후시진이 은퇴하고 인민일보 논설부 부주임인 판정웨이(范正偉)가 사장직을 신설해 부임할 것이라고 15일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은퇴설이 사실로 밝혀지더라도 그가 중국인들의 호전적인 민족주의를 키워온 늑대전사 언론인의 전형이란 사실은 바뀌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