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도청 파문

우크라전·동맹국 내밀 정보, 내용도 시점도 휘발성 커

2023.04.10 21:38

과거 유출과 어떻게 다른가

1월부터 도청 내용 흘러나와
현재 진행 외교 문제 ‘파괴력’
목적 불분명…배후 찾기 분주
미, 내부 유출 가능성에 무게

우크라이나 전황부터 동맹국 도청 내용까지 민감한 사항들이 담긴 국방부 기밀문서가 유출되자 미국 당국은 배후를 찾아내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미국의 기밀 문건 유출 사례가 이번이 처음은 아니지만 이번 사태는 유출 방식과 목적, 문건 내용의 시기적 민감성 등 측면에서 과거와 비교가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이번 기밀 문건 유출은 이미 약 석 달 전부터 시작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1월 온라인 게임 채팅 채널인 ‘디스코드’에서 12명 남짓의 소규모 익명 회원들이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세부 정보가 담긴 파일들을 올리기 시작했다. 여기에는 한국과 이스라엘 등 미 동맹국들에 대한 도청 내용, 러시아의 군사력에 대한 깊숙한 정보까지 다양한 내용이 담겼다.

수백개에 이르는 파일들은 3월 초까지 디스코드 내에서만 공유되다가 이후 일부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로 올라오면서 확산됐다. 당국이 인지하기 전인 지난 1~3월 사이에 누가, 얼마나 많이 이 문건들에 접근했는지, 그 안에 얼마나 중요한 기밀이 담겼는지도 중요한 문제로 떠올랐다.

미국의 기밀 문건 유출 사례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10년 위키리크스는 미 국무부가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270개 해외공관과 주고받은 외교 문서 25만건을 해킹해 공개하면서 미 외교의 이면을 폭로했다. 그로부터 3년 뒤엔 중앙정보국(CIA)과 국가안보국(NSA)에서 활동했던 에드워드 스노든의 내부고발로 미 정보기관의 민간인 불법 사찰 사실이 드러났다. 그러나 뉴욕타임스(NYT)는 이번 사태는 과거의 사례들과 다르다고 짚었다.

유출의 목적도 아직까지 불분명하다. 스노든은 정부의 불법 감시를 내부고발하겠다는 명확한 목적을 가지고 폭로했지만, 이번 사태의 유출 목적은 아직까지 여러 추정만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번에 유출된 문건들은 과거 위키리크스가 공개한 국무부 문건 등과 달리 현재진행형인 우크라이나 전쟁 정보 등을 담고 있다. NYT는 “국방부 문건들은 (과거 유출된) 방대한 양의 아카이브보다는 덜 포괄적이지만, (문서 작성 및 유출) 시기가 매우 중요하다”면서 앞으로 진행될 서방의 작전에 대한 힌트를 담고 있기 때문에 파괴적인 영향력을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문건 유출로 당장 우크라이나의 봄 공세 상황은 복잡해졌고, 러시아를 비롯한 적대국에 미 정보원이 노출될 가능성이 있으며, 미국과 동맹국들의 외교 관계에 큰 타격을 끼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파장이 확산하자 미 정부는 기밀 문건 유출을 둘러싸고 배후 색출에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유출자를 둘러싸고 다양한 추측만 난무하는 상황이다. 초기에는 러시아나 친러시아 세력이 배후에 있으며, 이들이 의도적으로 가짜 정보를 퍼뜨렸을 가능성이 크다는 주장이 확산했으나, 유출된 문건에 우크라이나 전쟁뿐만 아니라 중동, 중국, 북핵 등에 관한 내용까지 포함돼 있어 현재는 내부에서부터 새어 나갔을 가능성에 더 무게가 실리고 있다. 전직 국방부 고위관리인 마이클 멀로이는 로이터통신에 “(유출된) 많은 문서가 미국의 손에만 있었다”며 “초점은 이것이 미국의 (정보) 유출이 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미 당국은 불만을 품은 직원이나 미국의 국가안보를 적극적으로 훼손하려는 내부의 소행 등 4~5가지의 가설을 검토 중에 있다. 하지만 러시아 소행이라는 주장도 여전히 제기되고 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