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영토 보전 존중…모든 당사국 대화 필요”

2024.06.16 21:06 입력 2024.06.16 22:34 수정

‘평화회의’서 공동성명

정작 러시아 초청 안 해

시작부터 의미 퇴색

<b>표정 굳은 젤렌스키</b>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스위스 옵뷔르겐의 뷔르겐슈톡 리조트에서 개막한 우크라이나 평화회의 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AP연합뉴스

표정 굳은 젤렌스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스위스 옵뷔르겐의 뷔르겐슈톡 리조트에서 개막한 우크라이나 평화회의 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AP연합뉴스

90여개국이 참가해 스위스에서 이틀 일정으로 열린 우크라이나 평화 구축을 위한 국제회의(우크라이나 평화회의)가 16일(현지시간) 폐막했다. 회의 참가국들은 전쟁을 끝내기 위한 “모든 당사자 간의 대화”가 필요하다는 공동성명을 발표했으나, 정작 전쟁의 당사자인 러시아는 이번 회의에 초대받지 못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러시아를 압박하기 위해 참여국 확대 노력을 기울였지만 많은 정상이 불참하면서 시작부터 의미가 퇴색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회의 마지막 날인 이날 발표된 공동성명에서 참가국들은 어떤 경우에도 “우크라이나의 영토 보전”이 존중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평화회의 개최에 앞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러시아가 점령한 우크라이나 영토를 우크라이나가 포기하는 것을 전쟁 종식의 ‘협상 조건’으로 제시한 데 분명하게 거부한 것이다. 공동성명엔 “평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모든 당사자의 참여와 대화가 필요하다”는 점도 명시됐다. 그러나 이번 회의에 러시아는 초청받지 못했고, 차기 회의에 참여할지도 불투명하다. 전날 일부 참석국은 논의에 러시아가 참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카를 네하머 오스트리아 총리는 “서유럽 국가와 미국, 우리는 우크라이나에서 무엇이 벌어지기를 원하는지에 대해 같은 입장이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고 말했다. 하칸 피단 튀르키예 외교장관은 “만약 분쟁 상대방인 러시아가 회의장에 있었다면 이번 회의가 더 성과 지향적이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공동성명은 러시아의 전쟁을 규탄하며 러시아로 강제 이주된 우크라이나 아동들의 송환과 전쟁포로의 교환을 요구했다. 러시아가 점령 중인 자포리자 원전 통제권을 우크라이나에 다시 돌려줄 것과, 식량 안보를 무기화해선 안 된다는 내용도 명시됐다. 하지만 공동성명은 만장일치로 채택되지 않았으며, 인도·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연합 등은 성명에 동의하지 않았다고 AFP통신은 전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전날 평화회의 개막식 연설에서 “이번 회의에서 새로운 역사가 만들어지는 것을 목격하게 될 것으로 믿는다”고 회의에 의미를 부여한 바 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