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성공신이 된 ‘마부’

2018.03.20 21:17 입력 2018.03.22 09:21 수정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호성공신이 된 ‘마부’

“너는 임금의 어가에 험한 일을 겪으면서도 시종일관 말고삐를 짊어지는 공을 세웠노라.” 최근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해외한국학자료센터가 일본 교토대(京都大) 부속도서관에서 찾아낸 ‘오연의 호성공신교서’(사진) 중 한 대목이다. 호성공신교서는 1604년(선조 37년) 선조가 임진왜란 중에 임금(聖)을 의주까지 호종(扈)하는 데 공을 세운 86명에게 내린 증명서다. 이번에 찾아낸 교서는 선조의 말(어가)을 끌고 관리한 마부 오연에게 내린 것이다. 선조는 오연과 같은 마부 6명은 물론, 내시 24명과 의관 2명, 별좌 및 사알 2명 등 천대받던 계층의 사람들을 무더기로 공신의 반열에 올려놓았다.

엄밀히 말해 ‘사상 최악의 논공행상’이라는 혹평을 들을 만하다. 선조는 “그저 명나라 군대의 뒤만 쫓아다녔을 뿐”이라며 전장에서 피를 뿌린 의병장과 장수들의 공적을 폄훼했다. 이것이 무공(武)을 떨친(宣) 선무공신을 단 18명만 배정한 이유다. 반면 못난 임금의 도망길을 수행한 이들 중 무려 86명이나 호성공신에 올렸다. 공신록에 오르지도 못한 곽재우 같은 의병장들에 견주면 하찮은 공이라 할 수 있다. 곽재우 장군이라면 ‘기울어진 논공행상’을 마음껏 비판할 수 있다. 그러나 당대의 사대부와 명공대신들은 “천(賤)것들하고 같은 공신 반열에 올랐다”고 비판할 자격이 없다. 임금이 의주로 떠나자 매양 큰소리만 치던 대소신료와 사대부도 ‘날 살려라’ 하고 줄행랑쳤다. “의주까지 선조를 따르던 문무관은 겨우 17명이었다. 환관 수십명, 어의 허준, 액정원(왕명 전달 하급관리) 4~5명, 마부 3명이 임금 곁을 떠나지 않았다”(<선조수정실록>)는 한심한 기록이 있다. 선조는 “너희가 사대부보다 훨씬 낫다”고 땅이 꺼져라 한숨 쉬었다. 명공대신과 사대부의 배신을 목도한 선조는 임금 곁을 끝끝내 지킨 최측근들에게 공신의 작위를 내린 것이다.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블로그’

어의 허준도 양평군의 관작을 받았다. 오연과 같은 직책의 마부로는 오치운과 전용 등이 공신록에 올랐다. 이들은 “종시토록 말고삐를 잡고 임금 곁을 떠나지 않았다”는 공을 인정받았다. 말의 질병을 치료하는 마의(馬醫) 김응수도 포함됐다. 발굴 교서의 주인공인 오연은 충남 부여에서 징집되어 어가를 수행한 양민 출신의 정병(正兵)이었다. 내시 24명은 말할 것도 없다. 이들뿐인가. 어떤 백성은 임금이 배고플까봐 껍질만 벗긴 현미로 지은 밥을 바치기도 했다. 한없이 못난 임금이지만 그런 임금이라도 지켜낸 사람들은 오연과 같은 ‘민초’들이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