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나 카레니나 법칙’의 한국 금융

2014.10.07 21:23 입력 2014.10.07 22:41 수정
김상조 | 한성대 교수·경제개혁연대 소장

“행복한 가정은 다 엇비슷하고, 불행한 가정은 그 이유가 제각각이다.” 톨스토이의 소설 <안나 카레니나>의 첫 문장이다. 재레드 다이아몬드의 베스트셀러 <총, 균, 쇠>에 인용되면서 널리 알려졌다. 풀이하자면 이렇다. 성공(행복)을 위해서는 여러 조건들을 모두 갖추어야 하므로, 성공한 사람은 다 비슷해 보인다. 속된 말로, 능력 있고, 성실하고, 잘생기고, 부모 잘 만나고, 운도 좋아야 한다. 반대로, 이 중 어느 하나라도 부족하면 실패(불행)하기 십상이니, 실패의 이유는 제각각이다.

[김상조의 경제시평]‘안나 카레니나 법칙’의 한국 금융

안나 카레니나 법칙을 ‘개천에서 용 나기 어렵다’는 뜻으로 비약하지는 않겠다. 다만 실패를 성공으로 바꾸기 위한 전략을 구상할 때 명심해야 할 교훈으로 삼고자 한다. 즉 하나의 근본적 원인을 지적하면서 하나의 만병통치약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접근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하나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이 다른 원인(들)을 악화시킬 수 있고, 그러면 더 깊은 실패의 수렁에 빠져들 뿐이다.

한국 금융산업은 곳곳에서 실패하고 있다. 최근의 예만 보더라도 저축은행의 줄도산, 동양그룹의 사기행각, 개인정보 대량유출, KB금융의 집안싸움 등등 상식을 넘는 사고들이 줄을 이었다. 최근 경제개혁연대의 한 멤버가 홍콩·싱가포르의 기관투자가 40여곳을 만나고 왔는데, 한결같이 “한국의 금융회사에는 관심이 없다”는 태도를 보이더라는 말을 전해 듣고, 정말로 충격을 받았다. 어쩌다 이 지경이 되었는가.

물론 많은 논의가 있었다. 그 결과 모피아의 관치금융과 낙하산 인사가 한국 금융산업의 총체적 실패를 낳은 핵심적 요인이라는 데 대체로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나 역시 그렇게 생각한다. 아니, 그 누구보다도 더 열심히 그렇게 주장했다. 그런데 관치와 낙하산이 아무리 중요한 원인이라고 하더라도, 그것을 ‘근절’하고 ‘척결’하는 방식으로 한국 금융산업의 융성을 이끌어낼 수 있을까? 안나 카레니나 법칙을 환기해보자. 만병통치약은 예기치 않은 후유증을 낳고, 더 큰 질병을 불러올 수도 있다. 예를 들어보겠다.

우선 KB 사태의 책임을 물어 임영록 전 회장과 이건호 전 행장을 제재하는 과정에서 금융감독 당국이 심하게 오락가락했다. 금감원이 중징계인 문책경고를 통보했는데, 제재심의위원회에서 경징계인 주의적경고로 경감되었고, 그럼에도 금감원은 다시 문책경고로 올렸고, 금융위는 한 단계 더 높은 직무정지를 결정했다. 비난이 빗발쳤다. 대안의 하나로 감독당국에서 제재권을 분리하여 별도의 기구를 설치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제재권이 없는 감독당국을 상상이나 할 수 있는가? 직관적 해법이 언제나 합리적인 것은 아니다. 제재심의위원회의 결정을 금감원장이 번복했다는 게 잘못이 아니다. 제재심의위원회는 어디까지나 자문기구일 뿐이고, 최종 결정권자는 금감원장이다. 문제는, 금감원장이 왜 그런 결정을 했는지 그 근거를 투명하게 밝히지 않았다는 데 있다. 제재는 (준)사법 기능인 만큼 사법절차에 준하는 투명한 절차를 확립하는 방향으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

한편 지주사 회장과 자은행 행장 간의 갈등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KB 사태의 경우 출신 배경이 다른 두 낙하산이 내려옴으로써 갈등이 증폭되었다. 그러나 낙하산만 근절하면 문제가 해결되겠는가? 우리나라의 금융지주사는 자은행의 주식 100%를 보유하고 있고, 따라서 경제적으로는 사실상 하나의 조직이다. 하나의 조직에 두 개의 의사결정기구를 두는 우리나라의 금융지주회사제도하에서, 즉 지주사와 자은행에 각기 CEO·사외이사·감사위원회를 다 따로 두는 상황에서 갈등이 없다면 그게 오히려 더 이상하다. 지주사의 권한을 약화시켜 자은행의 자율성을 제고하자는 주장도 대증요법에 불과하다. 이럴 거면 지주사는 왜 만드나? 내부인사 아니면 몽땅 낙하산이라는 노조의 주장도 설득력을 갖기 어렵다. 회사가 그렇게 망가지는 동안 노조를 비롯한 내부 구성원들은 어디서 뭘 하고 있었나?

한국 금융산업의 실패 원인은 다양하고, 하나의 처방으로 치유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그래서 11월21일 KB금융의 임시주총에 가려고 한다. 무슨 해법을 갖고 있는 건 아니다. 단지 이사회가 회장 후보를 뽑을 자격이 있는지, 회장 후보가 혁신과 통합의 능력을 갖고 있는지 물어보기 위해 간다. 끈질기게 묻고 투명하게 답하는 과정에서 해법이 발견되기를 기대할 뿐이다. 더디더라도 이게 바른 길이라고 생각한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