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하사(下賜)’는 민주공화국의 언어가 아니다

2015.09.21 20:44

“박근혜 대통령은 추석을 맞이하여 부사관 이하의 모든 국군장병들에게 격려카드와 특별간식을 ‘하사’할 예정입니다.” 청와대가 홈페이지에 이 같은 보도자료를 올렸다. 장병들에게 특별휴가증을 수여한다는 내용과 함께였다. ‘하사(下賜)’는 왕조시대 용어로, 공화국에서는 사극에나 나올 법한 말이다. 그런데 청와대가 공개적으로 사용했다. 박근혜 정권이 국민을 대하는 방식이 이 한마디에서 드러난다.

하사는 ‘임금이 신하에게, 또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물건을 줌’이라는 뜻이다. 청와대는 국군통수권자인 대통령이 윗사람이고 장병은 아랫사람이니 문제될 게 없다고 할지 모른다. 하지만 두 번째 정의로 사용했다 해도 문제는 마찬가지다. 국군장병은 대통령의 아랫사람이기 이전에 주권자인 국민이다. 대통령은 국민의 투표로 뽑히고, 국민의 세금으로 월급 받는 공복(公僕)일 뿐이다. 어제 아침 발행된 중앙종합일간지 9곳 중 8곳이 ‘하사’ 대신 ‘제공’ ‘전달’ ‘돌릴 예정’이란 표현을 쓴 것만 봐도 이 단어의 부적절성을 짐작할 수 있다.

정치학자 임혁백 고려대 교수는 2012년 당시 대선후보이던 박 대통령을 두고 “왕정이 사라진 대한민국에서 ‘우리의 공주’를 갖고 싶어하는 한국 보수의 아이콘”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사인(私人)이 박 대통령을 공주 혹은 여왕처럼 여기는 심리까지 나무랄 수는 없을 터다. 그러나 정부와 공직자는 달라야 한다. 청와대 인식대로라면 격려카드와 특별간식을 ‘하사’받은 장병들은 ‘성은이 망극하옵니다’라도 외쳐야 하는 건가. 대한민국은 군주국이 아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