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화, 이름 걸고 직권상정은 불가 “내 성을 다른 성으로 바꾸든지”

2015.12.17 15:48 입력 2015.12.17 15:51 수정

정의화 국회의장(67)이 17일 청와대와 새누리당이 요구해온 쟁점법안의 직권상정에 대해 “직권상정은 없다”는 기존 입장을 강하게 재확인했다. 정 의장은 이날 오후 국회로 들어올 때 기자들이 “직권상정 불가라는 기존 입장에 변화가 없느냐”고 묻자 “내 이 생각은 국회법이 바뀌지 않는 한은 변할 수가 없다. 내가 내 성을, 정의화를 바꾸든지 다른 성으로…”라고 말했다.

정의화 국회의장이 지난 16일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20대 총선 선거구 획정 및 쟁점법안의 입법 지연 사태에 대해 국가비상사태 주장에 동의할 수 없어 직권상정을 거부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 강윤중 기자

정의화 국회의장이 지난 16일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20대 총선 선거구 획정 및 쟁점법안의 입법 지연 사태에 대해 국가비상사태 주장에 동의할 수 없어 직권상정을 거부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 강윤중 기자

청와대와 새누리당 지도부가 계속해서 정 의장의 직권상정을 압박하는 상황에서 정 의장도 강경한 입장을 다시 한 번 밝힌 것이다.

정 의장은 청와대 정연국 대변인이 “국회의장이 국회 정상화에 책임있다”고 말한 데 대해서는 “아주 지당한 말씀이지만, 그런 정도는 국회의장이 상식적으로 알고 있는데 구태여 그런 말씀을 왜 했는지 모르겠다”며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정 의장은 새누리당 일각에서 제기된 국회의장 해임건의안에 대해선 “해임 될 리 없다”며 자신있는 모습을 보였다. 정 의장은 “해임이 그렇게 쉽게 되겠느냐. 어제 156명 연서로 가져왔던데 그 156명에게 내가 일일이 체크 해봐야 하느냐. 다 도장을 찍었는지”라고 말했다.

정 의장은 쟁점 법안 통과 등을 요구하며 연일 국회를 압박하고 있는 청와대에 대해서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그는 “모두가 최선을 다하는 게 당연하고 청와대에서도 그런 대변인 통해서 자꾸 압박을 가하는, 우리는 당연히 삼권이 분립돼 있는 대한민국의 민주 체계에 뭔가 좀 의심이 가는 의심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그런 얘기들은 가급적 피하는 게 좋다”며 “각자가 제자리에서 제 할일 하는 그런 모습이 국민이 가장 바라는 모습일 것”이라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