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 ‘빨간불’

2024.06.06 22:05 입력 2024.06.06 22:08 수정

유네스코 전문가 패널 ‘보류’ 권고…최종 판단 때 근거로 활용

일본이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상황에서 유네스코 전문가 패널이 ‘보류’를 권고했다.

일본 문화청은 6일 유네스코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이코모스)가 이같이 결정하면서 추가 자료를 제출할 것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이코모스는 등재 심사 대상에 대해 서류심사와 현장실사 등을 거쳐 등재, 보류, 반려, 등재 불가 등 4가지 권고안 중 하나를 결정한다. 보류는 신청국에 자료를 보완해 다시 제출하라고 요구하는 것이다.

이코모스가 권고한 내용은 다음달 말 인도 뉴델리에서 열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회원국들이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최종 등재 여부를 판단할 때 중요한 근거로 활용된다.

문화청은 “정부는 7월 인도에서 사도광산이 세계유산에 등재되는 것을 목표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사도광산은 일제강점기 약 2000명으로 추산되는 조선인들이 강제 노역을 한 현장이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면서 사도광산 명칭을 ‘사도섬의 금산’으로 정하고, 대상 기간을 에도시대(1603~1868년)로 한정했다. 그러면서 ‘전통적 금 생산 기술과 체제’가 사도광산의 핵심 가치라는 논리를 고수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일제강점기를 포함한 사도광산의 전체 역사를 반영해 세계유산 심사를 진행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국 정부는 이코모스 및 세계유산위원회 측과 접촉해 이런 주장을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논쟁은 일본 정부가 2015년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군함도를 세계유산에 등재하려 시도할 때도 벌어졌다. 일본 정부는 대상 시기를 1850~1910년으로 설정했다. 당시 이코모스는 일본 측에 강제동원을 포함한 ‘전체 역사’를 알 수 있도록 할 것을 권고하면서도 ‘등재’ 의견을 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