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수소트럭 1000만㎞ 주행 ‘최고 기술력’ 입증…한국선 정부 외면에 ‘뒷걸음질’

2024.06.12 13:25 입력 2024.06.12 15:00 수정

현대차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

스위스에서 누적 주행거리 1천만㎞ 돌파

소나무 숲 508만㎡ 조성 효과

한국이 만든 대형 수소 트럭이 친환경의 나라 스위스에서 누적 주행거리 1000만㎞를 돌파했다. 하지만 정작 수소연료전지 분야 최고 기술 보유국인 한국의 수소 차량 보급과 운행은 각종 인프라와 정책 지원 부족으로 뒷걸음질치고 있다.

지구 온난화 주범인 탄소 배출을 억제하고 시민 건강권 확보를 위해서라도 친환경 운송 수단인 수소 트럭 운행을 지원하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대차 엑시언트 수소 전기 트럭. 현대차 제공

현대차 엑시언트 수소 전기 트럭. 현대차 제공

현대자동차는 자사 엑시언트 수소 전기 트럭이 스위스에서 3년8개월 만에 누적 주행거리 1000만㎞를 돌파했다고 12일 밝혔다.

엑시언트 수소 트럭은 세계 최초의 양산형 대형 수소 전기 트럭으로, 2020년 10월 스위스에서 첫 운행을 시작했다.

현재 스위스에는 총 48대의 엑시언트 수소 전기 트럭이 운행되고 있다. 이 트럭들은 2개의 수소연료전지로 구성된 180kw급 수소연료전지 시스템과 최대출력 350kW급 구동 모터를 탑재해 1회 충전 시 최대 400km까지 주행할 수 있다.

수소 전기 트럭은 일반 디젤 트럭과 달리 주행 중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다. 머플러처럼 생긴 부품을 통해 순수한 물만 배출한다.

디젤 트럭은 1000만㎞를 운행하면 약 6300t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고 현대차는 설명했다. 그만큼 수소 전기 트럭은 주행 과정에서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셈이다. 이는 수령 30년의 소나무 약 70만그루가 연간 흡수하는 탄소량으로, 508헥타르(508만㎡)의 소나무 숲을 조성하는 효과가 있다.

스위스에서 운행 중인 현대차 엑시언트 수소 전기 트럭. 현대차 제공

스위스에서 운행 중인 현대차 엑시언트 수소 전기 트럭. 현대차 제공

특히 스위스에서 운행되는 모든 엑시언트 수소 전기 트럭은 생산 과정에서 탄소가 발생하지 않는 ‘그린 수소’만을 연료로 사용한다.

현대차는 ‘캘리포니아 항만 친환경 트럭 도입 프로젝트’를 통해 미국에서도 수소 트럭을 보급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캘리포니아 대기환경국(CARB)과 캘리포니아 에너지위원회(CEC)에서 주관하는 북미 지역 항만 탈탄소화 사업이다.

현대차는 지난해 하반기 이 사업에 엑시언트 수소 전기 트럭 30대를 공급했다. 북미 운송업체 단일 공급으론 최대 규모다. 현대차가 공급한 차량은 기존 오염물질 고배출 트럭을 대신해 오클랜드 항구 컨테이너 운반과 리치먼드 항구 운송을 맡고 있다.

현대차가 북미 시장에 공급한 모델은 스위스와 달리 장거리 운행이 많은 북미 지역 특성에 맞춰 개발됐다고 한다. 180kW급 수소연료전지 시스템과 최고 출력 350kW급 구동 모터를 탑재한 대형 트럭으로 1회 충전 시 최대 적재 상태에서 720㎞ 이상 주행할 수 있다. 현재의 디젤 트럭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는 주행 거리다.

스위스와 미국뿐만 아니라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 뉴질랜드, 이스라엘,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연합(UAE) 등에서도 수소 트럭 대체를 위한 실증 및 운행 등 다양한 정책을 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 H인천 수소충전소. 현대차 제공

현대차 H인천 수소충전소. 현대차 제공

반면 수소연료전지 분야 최고 기술력을 갖춘 한국은 탈탄소 정책을 강하게 추진하던 지난 정권 때와 달리 수소 전기 차량에 대한 정책 추진력이 크게 약화한 상황이다. 실제 국내에 판매된 상용 수소 트럭은 수십대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학계와 업계 등에서는 일반 디젤 트럭과 달리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고 주행거리도 일반 전기차보다 긴 수소 전기 트럭을 수송 분야에 적극 투입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수소 공급을 활성화하고 수소 트럭 소비를 촉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대형 트랙터(트레일러를 끄는 트럭)를 운전하는 김보현씨(45)는 “디젤 트럭은 소음과 진동이 심해 수소 트럭을 구매하고 싶지만 물류 업체나 차고지 근처에 수소 충전소가 거의 없어 현실적으로 구매가 어렵다”고 말했다.

수소 가격이 올라 연료비가 디젤 트럭보다 많이 드는 것도 수소 트럭 보급을 지연시키는 요인이다. 수소 시장을 정상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해 보조금 등을 지급하더라도 ‘수송용’ 수소를 저렴하게 공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수소 트럭이 지구 온난화를 지연시키는 데 일조하고 건강을 해치는 배기가스도 배출하지 않는 만큼 수소 트럭 운행 사업자 등에게 연료비를 보조하고, 수소 트럭 보급 활성화를 위해 영업용 번호판 신규 발급을 허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