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복관세? 협상?…중국, EU 전기차 관세 부과에 어떻게 대응할까

2024.06.13 17:42 입력 2024.06.13 18:15 수정

지난 4월 25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 국제전람센터 순이관에서 열린 ‘2024 오토 차이나’(베이징 모터쇼)에서 관람객들이 샤오미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4월 25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 국제전람센터 순이관에서 열린 ‘2024 오토 차이나’(베이징 모터쇼)에서 관람객들이 샤오미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유럽연합(EU)이 중국산 전기차에 최고 48.1%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면서 중국의 대응 조치에 관심이 쏠린다. 중국의 추가 조치에 따라 새로운 무역전쟁이 시작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는 13일 EU가 중국산 전기차 관세율 상향을 추진하는 것에 맞서 반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중국 정부와 산업계에서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환구시보는 전문가를 인용해 “중국의 옵션은 많다”며 몇 가지를 소개했다. 보도에 따르면 유명 자동차 업계 관계자가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배기량 2.5ℓ 이상의 엔진을 장착한 수입차에 대한 임시 관세를 인상해야 한다고 요구한 게 널리 주목받고 있다.

환구시보는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당국이 EU 돼지고기 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사를 개시하도록 증거를 모으고 있다고도 전했다. 일부 중국 기업들은 당국에 EU의 일부 유제품 수입에 대한 반보조금 조사를 개시하도록 요청할 계획이다.

EU 집행위원회는 전날 중국 전기차 업체들이 당국의 부당한 보조금을 지급받았다며 17.4∼38.1% 포인트 잠정 관세를 추가로 부과할 계획이라고 중국 정부에 통보했다. 중국 상무부는 즉각 논평을 내고 “조치를 면밀히 주시하면서 중국 기업의 합법적 권익 수호를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방 언론들은 무역전쟁 가능성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 4월 개정된 중국 관세법은 특혜무역협정(PTA)을 체결한 시장이 고율관세를 부과할 경우 상호주의 원칙에 입각해 상대 국가 상품에 동등한 관세를 부과하도록 규정했다. 해당 규정은 오는 12월1일 시행된다.

컨설팅기업 로모션의 윌 로버츠 자동차 수석연구원은 “관세에 대한 중국의 반응은 유럽과의 무역 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라며 “이는 중국이 주도하는 공급망에 의존하고 있는 지역에 치명적일 것”이라고 로이터통신에 말했다.

중국 측이 보복관세를 통해 즉각 무역전쟁에 나서기보다는 협상을 통한 유화책을 쓸 가능성도 있다. 중국 당국과 관영매체는 이번 조치가 서방 기업과 소비자에게도 큰 피해를 주고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유럽 내 전기차 소비자 가격이 올라갈 뿐만 아니라 테슬라 등 중국에 투자한 서방 기업도 이번 조치로 큰 피해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EU는 7월 4일부터 임시로 관세를 적용하지만 이 조치가 확정되려면 오는 11월까지 27개 회원국 가중다수결로 이뤄지는 투표에서 가결돼야 한다. 중국으로서는 아직 여론전의 시간이 남아 있는 셈이다. 중국의 우방인 헝가리는 EU의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에 대한 규제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EU 측의 조치에도 불구하고 중국과 홍콩 증시에서 중국 전기차 주가는 이날 일제히 상승세를 보였다. 중국 전기차 업체 비야디(BYD)는 이날 오전 홍콩 증시에서 전장 대비 8% 이상 급등했다. 통신은 전문가들을 인용해 중국의 수출 회복세가 EU의 조치에 별 방해받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라고 전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