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해운 구조조정 계획

모두 살아남은 조선 ‘빅3’…대가는 총 10조3000억 ‘살 깎기’

2016.06.09 00:18 입력 2016.06.09 01:16 수정

합병 대신 인력·설비 축소 등 자구계획 각자 실행키로

직접고용만 6000명 감축…협력사 등 수만명 실직할 듯

해운 ‘빅2’ 선박펀드 지원…대우조선 방산부문 분리매각

정부가 8일 발표한 조선·해운 구조조정안은 강도 높은 자구안을 전제로 하고 있으나 조선 ‘빅3’, 국적선사 ‘빅2’가 모두 살아남아 기존 산업구조의 틀이 그대로 남게 됐다.

지난달 30일 하늘에서 내려다본 울산의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소가 미세먼지 때문에 뿌옇게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 크게 보기

지난달 30일 하늘에서 내려다본 울산의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소가 미세먼지 때문에 뿌옇게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 조선 3사는 부문별 합병을 통한 ‘빅2’ 정리설도 제기됐으나 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이 총 10조3000억원 규모의 자구계획을 실행해 각자 살아남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인력과 설비 축소를 통해 넘치는 공급을 줄여 ‘수주절벽’에 대비하고 재무구조를 개선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에 따라 2~3년 안에 3사의 직접고용인원만 최대 6000명이 줄어들고, 협력사 소속 현장 기술·작업 인력까지 포함하면 수만명이 일자리를 잃을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위원회는 2018년 말까지 직영·외주 인력이 지난해 대비 30% 이상 감축될 것으로 분석했다.

3년간 5조원이 넘는 적자를 내 경영 상황이 가장 부실한 대우조선해양은 본사 인력만 2020년까지 20% 이상 줄인다. 임직원 임금도 20% 반납해 인건비를 30% 이상 절감키로 했다. 또 자회사 14곳을 매각하고 선박건조대 2개를 팔아 설비의 30%를 줄일 계획이다. 수익성이 좋은 잠수함 등을 만드는 특수선 사업부는 자회사로 전환, 상장한 뒤 매각해 자금을 확보한다. 대우조선해양의 자구계획은 약 5조3000억원 규모에 달한다. 이는 앞으로 신규 수주가 2011~2015년 평균치의 50~70%, 매출도 과거의 70% 정도인 10조원 미만으로 떨어질 것을 감안해 일감 기근 속에서도 영업이익이 날 수 있도록 대비하라는 채권단의 추가 요구에 따른 것이다.

현대중공업은 도크 3개를 순차적으로 폐쇄하고, 하이투자증권 등 3개 금융계열사와 울산 현대백화점 앞 부지, 지게차·로봇 등 비핵심 사업·자산을 팔아 3조5000억원 규모의 자구안을 추진한다. 지금까지 신청받은 1000여명의 희망퇴직자를 포함해 본사 인력을 3000명 정도 축소할 예정이다. 삼성중공업은 거제도 삼성호텔·판교 연구개발센터 등 비핵심 자산과 잉여 생산설비를 매각하고 인력을 감축해 1조5000억원을 확보한다. 유상증자로 유동성 확보에도 나선다.

정부는 자구안이 계획대로 진행되면 2018년까지 ‘빅3’의 설비규모는 지난해 대비 20%, 도크 개수는 23% 감소해 공급과잉이 다소 해소될 것으로 보고 있으나 수주절벽이 장기화할 경우 현대중공업(3조6000억원)과 대우조선해양(2조원)에 비상시 추가로 생산설비를 감축하는 방안도 구조조정안에 포함시켰다.

성동조선과 대선조선 등 중소형 조선사 역시 스스로 생존방안을 강구하고, 유동성 부족이 발생하면 처리 방향을 원점에서 재검토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SPP조선은 재매각을 추진한다.

구조조정이 진행 중인 양대 국적 해운사는 정부가 정상화를 적극 지원하고, 부채비율이 400% 밑으로 떨어지면 12억달러 규모의 선박펀드 지원을 통해 시장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초대형 선박 보유를 추진할 방침이다.

8000억원대 사채권자 채무조정에 성공한 현대상선은 용선료 협상이 이번주 내 타결돼 7월 중 채권단이 7000억원대 출자전환을 진행하게 되면 연말쯤 부채비율이 226%까지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채권단 지분이 40%로 높아지고 22.6%에 달하던 현대계열 지분은 1.4%까지 낮아져 사실상 현대그룹과 분리된다. 오는 9월까지 마무리지어야 하는 세계해운동맹 가입도 긍정적인 기대가 높다.

한진해운도 같은 방식으로 구조조정이 진행된다. 유동성을 자체적으로 해결하면 용선료 협상 등은 정부가 최대한 지원할 방침이다. 하지만 정부는 정상화에 실패할 경우 원칙에 따라 법정관리도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