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격동’에 재계도 긴장

2006.06.01 18:00

5·31 지방선거의 여진은 재계도 예외는 아니다.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정치권의 지각변동이 가져올 후폭풍에서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환율 및 유가불안에다 내수시장마저 위축될 조짐을 보이고 있어 엎친 데 덮친 격이다. 지방선거 이후로 미뤄진 대기업의 검찰 수사가 곧 재개될 예정이어서 재계의 긴장도는 한층 높아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전경련 고위관계자는 1일 “경제불안, 만성적 저성장, 양극화 등에 따른 국민 불만이 이번 선거에서 불거진 것”이라며 “하지만 여권이 이를 ‘개혁을 더 선명하게 밀어붙이지 못해 이렇게 됐다’는 식으로 오독(誤讀)할지 몰라 걱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하반기에 한·미 FTA 협상, 조세개혁, 노동관계법, 상법 및 공정거래법 개정과 같은 굵직한 현안들이 대기하고 있다”며 “기업의 투자의욕을 위축시키는 쪽으로 정부정책이 추진되면 경기침체가 심화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LG경제연구원 관계자도 “올해초 성장잠재력 확충과 양극화 해소라는 정부의 정책 기조가 이번 선거로 흔들려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재계의 고위관계자는 “국민이 대통령 탄핵까지 지켜봤는데 지방선거에서 야당이 압승했다고 큰 변화가 있겠느냐”면서도 “다만 인위적으로 무리하게 정계개편을 추진하면 정치적 불확실성을 키워 경제에도 주름살이 드리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검찰수사 관련 기업들은 당장 발등의 불이다. 이달부터 현대자동차의 비자금 수사가 본격화되고, 삼성에버랜드 수사도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신세계와 두산그룹도 검찰수사와 법원 공판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대기업 관계자는 “이번 지방선거가 검찰수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가 최대 관심사”라며 “정치권 지각변동에 검찰이 가세하는 것이 최악의 시나리오”라고 우려했다.

〈최우규기자 banco@kyunghyang.com〉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