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공원 상공 위 리프트, 30여 년 만에 곤돌라로 바뀐다

2024.06.16 14:39 입력 2024.06.16 15:56 수정

지난해 10월 경기도 과천 서울대공원에서 한 가족이 단풍을 배경으로 케이블카를 타고 있다. 한수빈 기자

지난해 10월 경기도 과천 서울대공원에서 한 가족이 단풍을 배경으로 케이블카를 타고 있다. 한수빈 기자

서울대공원의 스카이 리프트를 곤돌라로 교체하는 속도가 빨라질 전망이다. 리프트는 공원 상공을 지나며 청계산과 호수를 뻥 뚫린 전경으로 볼 수 있어 인기가 많았으나 노후화에 따른 안전사고 우려로 교체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6일 서울시의회 등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시는 시의회에 ‘서울대공원 곤돌라 민간투자사업 추진에 대한 동의안’을 안건으로 제출했다.

대공원 곤돌라 설치를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할지 최종 확정하기 위한 절차다.

서울시와 공원 측은 1991년 운행을 시작한 리프트가 30년이 넘어 노후화돼 사고 위험이 있다고 판단한다. 특히 개방형 의자를 견인하는 방식이라 장애인 등 교통약자 탑승이 어렵고, 유아차를 실을 공간도 없다. 비가 오거나 겨울철 등 날씨에 따라 운행 여부가 결정된다는 단점도 있다.

이에 대공원은 주차장~동물원 입구~맹수사 구간 약 1.75㎞를 자동 순환식 캐빈형(폐쇄형) 곤돌라로 바꾸는 작업을 추진 중이다. 지붕과 문이 있는 곤돌라는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고 1시간에 최대 2400명이 탈 수 있다. 리프트(1350명)보다 수송력이 높고, 유아차·휠체어도 실을 수 있다.

앞서 2016년에도 곤돌라 도입이 추진됐다 사업성 등을 이유로 보류된 바 있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비용편익(B/C)분석 결과(1.01)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해당 사업은 올해 행정안전부 지방투자심사위원회 승인을 받은 후 서울시 재정계획심의위원회 의결을 통과한 상태다.

대공원 측은 시의회 동의를 얻어 우선협상대상자 협상을 거쳐 총사업비와 곤돌라 사용료 등을 확정할 계획이다. 시의회 의결 후 올해 연말이나 내년 초 입찰 공고를 낼 예정이다.

곤돌라 교체 공사는 시험 운전 기간을 포함해 총 2년 정도 걸린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