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길태 후폭풍’ 검·경 부산한 부산행

2010.03.21 18:21 입력 2010.03.22 01:14 수정

경찰 - 감찰단 파견 ‘줄징계’ 걱정

검찰 - 재수사 의지 증거확보 나서

부산 여중생 납치살해 사건을 놓고 검찰과 경찰이 각각 대규모 수사단을 부산으로 내려보내 양측간 미묘한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경찰은 수사과정을 자체 감찰하고, 검찰은 사건을 처음부터 재수사하겠다며 의지를 밝히고 있다. 모두 경찰 수사과정을 짚어보겠다는 것이어서 자칫 불똥이 일선 수사팀은 물론 고위층에게까지 튈 수 있어 부산 경찰이 전전긍긍하고 있다.

‘김길태 후폭풍’ 검·경 부산한 부산행

경찰청은 이 사건 수사과정에 문제점이 있었다는 지적에 따라 내부 감찰단을 꾸려 22일부터 진상조사에 착수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감찰은 강희락 경찰청장이 직접 지시한 사항으로, 피의자 김길태씨의 검찰 송치 전부터 이미 예고돼 왔다.

감찰은 경찰청에서 직접 맡았다. 감찰단은 모두 10명으로 ‘매머드급’이다. 감찰단은 원경환 경찰청 과학수사센터장(총경)을 단장으로 수사, 생활안전, 홍보, 감찰 등 기능별 조사관 등으로 구성됐다.

경찰은 통상 수사과정에 문제가 있을 경우 해당 경찰서나 지방청 등의 내부 감찰을 통해 징계 등의 절차를 내린다. 이번처럼 본청에서 대규모 조사단을 꾸려 감찰에 나서는 것은 이례적이다. 감찰 결과에 따라 수사 지휘라인이 ‘줄징계’를 당할 것이란 예측이 나오고 있다.

경찰이 이처럼 대대적인 감찰에 나서는 것은 수사과정에서 경찰이 몇 차례 범인을 잡을 기회를 놓친 것 등에 대한 비판이 가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감찰단 관계자는 “전반적인 수사과정을 살펴보고 개선책을 찾아 대응력을 높이자는 차원”이라고 밝혔다.

사건을 넘겨받은 검찰은 수사기록을 살피며 재수사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검찰은 김씨의 혐의 입증에 필요한 납치와 성폭행, 살인 혐의에 대한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일부 보강수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검찰 역시 부장검사를 사건 주임검사로 지정하고 3명의 검사와 대검 심리분석실 등을 동원해 김씨의 자백을 추가로 받아낼 방침이다.

검·경 양측이 부산에서 하는 일은 다르지만 그 결과는 고스란히 경찰의 ‘몫’이 될 전망이다. 경찰 입장에서는 감찰을 통해 문제점을 찾아내고 징계를 하는 것 자체가 부담스러운데다 검찰의 재수사 과정에서 수사과정상 문제점이 지적될 경우 추가로 비난을 듣게 될 처지에 놓이게 됐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