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 의뢰 두 달 만에…검찰 ‘어버이연합 게이트’ 추선희 24일 소환

2016.06.19 22:31 입력 2016.06.19 23:32 수정

전경련 지원 경위·권력기관 개입 등 밝혀야

수사 의뢰 두 달 만에…검찰 ‘어버이연합 게이트’ 추선희 24일 소환

검찰이 대한민국어버이연합의 각종 의혹과 관련해 추선희 사무총장(57·사진)을 오는 24일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우회 지원과 청와대 행정관과의 ‘관제데모’ 논의 의혹 등으로 수사 의뢰를 받은 지 두 달여 만이다.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심우정 부장검사)는 어버이연합 의혹과 관련해 고발인과 참고인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하고 24일 추 사무총장을 불러 조사할 예정이라고 19일 밝혔다. 앞서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 시민단체들은 지난 4월 추 사무총장과 허창수 전경련 회장 등을 금융실명제법 위반과 조세포탈, 업무상 배임 혐의 등으로 검찰에 수사 의뢰했다. 어버이연합에 ‘관제데모’를 지시한 것으로 지목된 청와대 허현준 행정관도 직권남용 혐의로 함께 수사 의뢰됐다.

검찰은 추 사무총장에 대한 조사를 마치는 대로 허 행정관과 전경련 관계자 등도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검찰이 밝혀야 할 의혹은 크게 두 가지다. 먼저 대기업 이익단체인 전경련이 선교복지재단 계좌를 통해 어버이연합에 수억원의 돈을 지원한 경위와 이 과정에서 외부 세력의 압력이 있었는지 여부다. 전경련이 어버이연합에 우회 지원한 돈은 지금까지 밝혀진 것만 5억2000만원이 넘는다. 이와 별도로 CJ와 SK 등도 수천만원의 돈을 동일한 계좌로 보냈다. 어버이연합은 뭉칫돈이 송금된 시기를 전후로 친정부 집회나 대기업들의 입장을 옹호하는 집회를 잇따라 열었다. 추 사무총장은 그동안 전경련 등에서 받은 돈을 노인 무료급식 사업 등에 썼다고 주장해왔다.

또 사회적 이슈가 벌어질 때마다 정부 입장을 대변해온 어버이연합의 배후에 청와대나 정보기관 등 권력기관이 개입했는지 여부도 밝혀야 할 숙제다. 한·일 위안부 합의를 규탄하는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시위에 맞선 ‘맞불시위’ 개최를 놓고 추 사무총장과 허 행정관이 논의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검찰이 청와대와 전경련을 상대로 제대로 된 수사를 할지는 미지수다. 검찰은 시민단체들의 수사 의뢰를 받은 뒤에도 두 달 가까이 압수수색 등 강제수사를 벌이지 않았다. 그동안 핵심 의혹 당사자인 추 사무총장은 사무실에 출근하고 안보 강연을 다니는 등 활동을 이어왔다. 서울 종로구 어버이연합 사무실은 지난달 리모델링 공사까지 진행했다.

1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