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노동자들, 폭염 속에서도 고강도 노동 내몰려”

2024.06.11 20:54 입력 2024.06.11 20:59 수정

교육공무직본부 대구지부, 휴게시설 마련 등 대책 촉구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대구지부는 11일 대구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폭염기 안전한 학교를 위해 적정 인력을 배치하는 등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노조는 학교비정규직 중 급식실·환경미화·시설관리 종사자 등이 직접적인 폭염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밝혔다.

노조는 급식 노동자들이 과다한 식수인원을 담당하는 등 열악한 노동환경에 내몰리고 있다는 입장이다. 특히 한여름 폭염에는 급식실에 냉방기가 설치돼 있어도 노동자들이 현기증과 구토 등의 증상을 보이고 심한 경우 열탈진으로 병원에 실려가기도 한다는 것이다.

노조는 “가만히 있어도 온몸이 땀에 젖을 정도의 날씨에 급식실 가열기구 앞에서 일하는 것은 고역”이라며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기와 폭염의 온도가 더해져 급식실 체감온도는 55도까지 치솟는다”고 밝혔다.

노동자들은 조리원 1인당 식수인원이 50여명인 다른 공기관에 비해 대구교육청은 급식 노동자 1명이 140여명의 식사를 감당하도록 배치했다고 주장했다. 이 때문에 급식 노동자들이 짧은 시간 안에 수많은 인원의 식사를 준비해야 하는 고강도 노동환경에 처했다는 것이다.

또 특수·기숙 학교를 제외한 대부분 학교에서는 환경미화 노동자 1명이 학교 전체 건물의 화장실 등 관리 구역을 도맡아 청소한다고 노조는 지적했다.

환경미화·시설관리 노동자를 위한 휴게실 및 샤워 시설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아 충분히 휴식을 취하지 못하고 땀범벅이 된 채로 퇴근해야 하는 처지이다.

교육공무직노조에 따르면 지난해 대구지역 학교·기관 휴게소 설치 실태조사 결과 환경미화원 휴게실의 경우 전체 학교 520곳 중 291곳(56%)에만 설치돼 있었다.

공무직노조는 “환경미화 노동자 대부분이 60세가 넘는 고령층인데, 이들이 폭염기에 쓰러지지 않도록 충분한 휴식시간 등이 제공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